-
예민함에도 종류가 있다, HSP [한국심리학신문=조수진 ] 2024-12-18 조수진
-
8초의 시대: 숏폼 콘텐츠가 대세인 이유 [한국심리학신문=오현지 ] 2024-12-09 오현지
-
생각보다 게으른 우리 뇌: 기억 왜곡 현상 [한국심리학신문=조수진 ] 2024-12-02 조수진
-
우리의 태도, 그리고 편견에 대하여 [한국심리학신문=김이수현 ] 우리들의 태도에 대하여우리는 어떤 이를 바라볼 때, 우리가 그들에 대하여 생각하는 행동, 정서, 인지를 합한 태도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성소수자(LGB)를 바라볼 때, 우리는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을까? 사람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어떠하다고 쉽게 단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가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 2024-11-29 김이수현
-
모든 사람에게 다중인격적인 성향이 있다고? [한국심리학신문=윤재현 ]신성 로마 제국의 카롤루스 대제는 “두 번째 언어를 가지는 것은 두 개의 영혼을 갖는 것이다”라는 말을 했다. 우리는 가끔 자신이 외국어를 사용할 때 다른 목소리 톤이나 행동 변화 등을 느낀다. 예를 들어, 재미교포 출신 연예인이 모국어를 할 때랑 한국어를 할 때 사고방식, 행동, 말투, 그리고 분위기가... 2024-11-28 윤재현
-
의사소통 장애, 현대 사회의 숨겨진 문제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의사소통은 인간 관계와 사회적 활동의 핵심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동일한 수준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의사소통 장애는 개인이 자신의 생각, 감정,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단순히 말의 유창성이나 정확성의 문제가 ... 2024-11-25 채진우
-
당신은 생각보다 좋은 첫인상을 가졌다 [한국심리학신문=신경민 ] 우리는 살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그 새로운 누군가는 그저 삶의 지나가는 수많은 타인 중 하나로 남을 수도 있지만, 혹은 친구, 연인, 직장 동료 등 나와 깊은 관계를 맺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그러한 관계의 시작점인 첫 만남은 늘 어려운 법이다. 훗날 나에게 중요한 사람... 2024-11-21 신경민
-
죽음과 애도, 감정의 변화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사랑하는 사람, 가족, 친구, 지인을 떠나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상담 속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으면서 느끼는 상실감, 비통함, 그리고 슬픔은 잠깐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장 생활의 문제를 느낀다거나 평소 즐겼던 일들에 더 이상 기쁨을 느끼지 못... 2024-11-21 박소영
-
자녀와의 소통을 유지하라. 2부 [한국심리학신문=노주선 ]* 본 글은 총 3부로 이루어지며, 오늘은 2부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3. 나이에 따른 부모-자녀 소통 방법사람들과의 소통과 교류는 습관입니다. 물론 성격 등이 영향을 끼치기는 하나 이는 기본적인 행동 경향성의 문제이지, 실제 얼마나 소통을 하고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는지 여부는 결국 실행에서 판가름이 납니... 2024-11-19 노주선
-
이상적인 공론장은 존재할 수 있는가? [한국심리학신문=윤서정 ] 지난 11월 5일 치러졌던 미국의 47번째 대통령을 뽑는 선거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미국 대선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 건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다. 많은 사람들의 이목이 쏠린 만큼 선거 유세 기간 동안 전 세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각종 흑색 선전과 혐오 표현이 난무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급증한 ... 2024-11-18 윤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