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유하은 ]


출처 : stocksnap

내가 완벽주의자라고?


하루가 다르게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그만큼 빠른 정보 수용과 대응이 필요하다. ‘빨리빨리’ 문화가 익숙하게 자 리잡은 한국에서는 어떤 일이든 속도감 있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며 살아간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와 더불어 정확하고 완벽한 일 처리까지 요구하곤 한다. 

 

“OO일 까지 제출해야 하는데 하기 싫어.”, “일주일 뒤에 시험인데 공부하기 싫어.”, “방 치워야 하는데 귀찮고 하기 싫어.” 혹시 매번 이와 비슷한 상황을 겪으며 해야할 일을 마감 기한 직전까지 미루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자신이 ‘게으른 완벽주의자’가 아닌가 한번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완벽주의자 증후군’, ’강박인격장애‘ 등으로 분류한다. 흔히들 모든 것이 정확하고 원칙적이며 실수 없이 해내는 사람을 완벽주의자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고 싶어 하는 사람을 완벽주의자라고 한다. 즉,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내고 있지 않더라도, 완벽하게 해내고 싶다는 열망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모두 완벽주의자이다. 

 


완벽주의가 인간에게 끼치는 영향에는 무엇이 있을까?


완벽주의에 대한 초기의 심리학적 연구는 정신 병리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연구가 대다수였다. 이처럼, 심리학에서 완벽주의는 마음의 병을 일으키는 성격적 특징으로 보기도 한다. 모든 것이 완벽해야 한다는 것이 부담으로 자리 잡게 되면 우울, 불안, 초조, 강박 등의 부정적인 감정적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완벽주의적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에는 가정환경, 개인의 실패, 과도한 경쟁, 낮은 자존감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존재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현대인은 성취주의와 결과주의가 만연한 사회 분위기 그리고 입시와 취업 등에서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완벽주의가 발현되고 있다고 짐작해볼 수 있다.

 

우리는 로봇이 아닌 인간이기에 완벽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존재하지 않는 완벽을 쫒게 되면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비이상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것에 도달하기 위해 무리하는 것, 주변 사람에게 과도하게 완벽한 것을 강요하며 갈등을 빚는 것, 모든 일을 실수 없이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 등이 그 예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완벽주의에 부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완벽주의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책임감 있고 꼼꼼하게 수행해내기에 완성도 있고 퀄리티 높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또한 완벽주의라는 기질을 잘 활용한다면 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 성취감, 성공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완벽주의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만약 자신이 해야 하는 일인 것을 알고, 그 일의 중요성 또한 깨닫고 있지만 하기 싫어 미루는 ‘게으른 완벽주의자’라는 생각이 드는가? 완벽주의 또한 다른 증후군과 같이 스스로 극복이 가능하다. 다음 제시되는 방법을 실천하며 완벽주의로 인한 나의 부정적인 기능은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기능을 극대화해보도록 하자.

 

첫째, 일단 일을 실행한다. 완벽주의자는 흔히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강박에 일을 쉽게 시작하지 못한다. 하지만 마감 기한이 다가올 때까지 미루다가 부랴부랴 끝마치다간 마음에 들지 않는 결과물이 나와 실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완벽주의 성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시작해서 남은 기간 동안 여러 번 수정을 거쳐서 결과물을 내도록 연습해야 한다.

 

둘째, 작고 간단한 목표를 세운다. 완벽주의자는 자신의 능력 이상의 목표를 세우고 완벽을 추구하기에 일을 떠올리자마자 기운이 빠지고 하기 싫어지는 것이다. 그러니 당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가벼운 목표를 세우고, 그것부터 차근차근 실천해야 한다. 당신이 완벽주의자라면 시작이 가장 어렵고 막상 시작하면 잘한다는 것을 스스로 알 것이다.

 

셋째, 실수와 불완전함을 포용한다. 우리는 사람이기에 로봇처럼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낼 수 없다. 그렇기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오류와 결점을 혐오하기보다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앞으론 반복하지 않겠다는 깨달음을 얻는 것으로 만족해야 한다. 완벽이라는 불가능한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부족한 점을 발견하면 조금씩 채워나가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김지현(Ji Hyoun Kim),and 박기환(Kee Hwan Park). "완벽주의의 기능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2010): 765-780.

https://wonderfulmind.co.kr/perfectionism-causes-unhappines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805
  • 기사등록 2022-01-24 08:49: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hku0805002022-01-26 16:04:24

    마감일까지 과제를 미루는 자신에 대해 의지를 탓하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기사를 보니 완벽하게 잘 하고 싶은 마음이 큰데 이런 마음에서 부담감을 느껴 미룬다기 보다 피했던 것이 맞는 것 같네요. 글에 나온 방법을 활용해서 고쳐나가볼게요~ 감사합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