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



다른 사람 앞에서 부끄러운 일을 겪게 되면 '부끄럽다' 못해 '수치스럽다'라는 감정이 듭니다. 수치심은 스스로를 부끄러워 느끼는 마음인데 이런 수치심이 우리 사고방식과 결합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저는 이 기사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을 소개해 드리고 싶습니다.  내면화된 수치심(internalized shame)이란 자신에 대한 열등감, 결핍감, 무가치감, 부적절감, 자아 정체감으로 내면화되어 자신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하며, 지속적이고 만성적으로 수치심을 느끼는 것입니다. 수치심은 상태 수치심(state shame)과 특성 수치심(trait shame)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상태 수치심은 특정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수치심을 느끼는 것으로 그 상황이 종료되면 사라지지만, 특성 수치심은 개인 내면의 정체성으로 자리 잡아 성격 특성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내면화된 수치심’이라고도 부릅니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은 ‘수치심’이라는 정서가 특정 상황이나, 자신의 특정 행위로 인해 느껴지는 일시적인 부끄러움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 결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특징


내면화된 수치심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애착 관계에서 주 양육자의 반복적인 거부와 무시로 인해 수치심이 내면화되고, 이후 자신을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생애 초기에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생겨나는 수치심은 말로는 표현되지 않는 내적인 경험이지만, 후에 수치스러웠던 장면을 이미지로 확대하여 언어로 변환시키게 되면서, 인지적이며 자기 평가적인 경험으로 변화되게 됩니다. 이에 대해 Bradshaw(2010)는 어린 시절 욕구가 무시되어 수치심이 내면화되면, 자신이 기댈 사람은 주변에 없고 자신이 기댈 권리조차 없다고 믿으며, 욕구를 느낄 때마다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으며, Lewis(1971)는 높은 수치심을 경험하면 스스로를 보잘것없고, 무가치한 존재로 느껴 자신을 평가절하하며, 이러한 강렬한 정서를 회피하기 위해 억압, 부인, 투사 등의 방어기제를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발달 초기부터 주 양육자에 의해 수치심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여 내면화된 수치심이 형성되면, 자신을 무가치하고 쓸모없다고 느끼게 되며 열등한 느낌의 자괴감을 발달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형성되면 수치심을 느낄만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치심을 경험하게 되고, 자기 존재의 전부를 문제시하기 때문에, 자신을 무가치하고, 부적절한 존재로 왜곡하여 인식하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인관계에서도 외로움을 더 많이 경험하고, 우울, 사회불안, 분노 등의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중독, 섭식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 등 정신병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발되는 부정적 상황


내면화된 수치심은 특정한 상황에서 유발되는 하나의 정서적인 반응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해 지속적으로 결함을 느끼는 지배적인 감정이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형성된 아동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기대와 신념으로 인해 타인의 의도를 쉽게 왜곡해서 지각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교류에서도 모욕과 상처를 느끼기도 한다. 또한 자신의 열등한 모습을 숨기기 위해 거짓된 자아를 만들어서 살아가게 되는데, 이는 자신으로부터도 소외되는 것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진실된 교류와 성장도 어렵게 하며, 이러한 방어적 태도는 타인을 투사하고 비난하여 대인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연구에 따르면 내면화된 수치심이 형성되면 정서를 명확하게 지각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관계중독, 사회불안, 공감 능력 부족, 공격성, 대인 민감성 등의 문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면화된 수치심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의 부재를 경험하게 하고, 자신이 대인관계에서 적절하지 못한 행동을 했다는 정서를 느끼게 만들어 대인관계를 더욱 회피하게 하므로,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배울 기회마저 차단하게 되는 악순환이 형성되게 합니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 장면 중에서도 가까운 대인관계 장면에서 더욱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깊은 관계로 발전시키지 못하게 됩니다. 




지난 기사

나의 일상에 스며든 나를 사랑하는 습관들

세상을 다채로운 색으로 꾸며나가길 바라며,

사랑에도 유형이 있다.

트라우마에 대한 새로운 시각

뚜렷하진 않지만 남아있는 것

유익한 교양 추천(학교 상관없음)

의외의 것들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에게 일어나는 오류




참고문헌

Cook, D. R. (1988).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 197-215.

Cook, A., Spinazzola, J., Ford, J., Lanktree, C., Blaustein, M., Cloitre, M., deRosa, R., Hubbard, R., Kagan, R., Liautaud, J., Mallah, K., Olafson, E., & van der Kolk, B. (2005). Complex trau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ic Annals, 35(5), 390-398.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Barlow, D. H. (2002). Anxiety and its disorders: The nature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anic(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Gilbert, P. (2000). The relationship of sham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role of the evaluation of social rank.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 Practice, 7(3), 174-189.  

Fergus, T. A., Valentiner, D. P., McGrath, P. B., & Jencius, S. (2010). Shame-and guilt-proneness: Relationships with anxiety disorder symptoms in a clinical sample.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4(8), 811-815.  

Barber, B. K., Bean, R. A., & Erickson, L. D. (2002). Expanding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pp. 263-2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Lewis, H. B. (1987). Shame and narcisstic personality, On D. L. Nathanson (Ed.), The many faces of shame (pp.133-161). New York: Guilford Press.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3), 641-669.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과 분노표현방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 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1. 

최은영, 안현의 (2011).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 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 회지: 여성, 16(3), 285-302. 

이영웅 (2011). 정서적 학대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수치심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계명대학교.  

최해연 (2008).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444
  • 기사등록 2023-01-31 21:03: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