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분 나쁘게 말하는 사람들의 화법들
- "고객님, 물건 봉투에 담아 드릴까요?" 사람들의 말에는 인격이 있다고 나는 믿는다. 아니, 인격은 '말'의 형태로 (몸 밖으로) 나온다고 하는 게 맞을 수...
- 2021-09-23
-
- 심리학의 불편한 진실
- 심리학의 주된 정체성은 ‘과학적 방법’에 있습니다. 근대 심리학이 시작된 해를, 분트가 심리학 실험실을 만든 1879년으로 잡는 이유가 여기 있지요. ...
- 2021-09-17
-
- 어른의 기분
- 내가 실로 어른이 되었다는 것을 처음 실감했던 순간이란, 대학에 입학하고 카페에 가서 이국의 이름을 띈 카페의 메뉴 가운데 나에게 적당한 뭔가를 선택할 ...
- 2021-09-17
-
- ADHD를 치료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
- 당신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자각하고, 인정하기이다. 자각은 스스로 깨닫는다는 말답게 자기 자신이 adhd라는 것을 스스로 깨달아야 하는 것. 인...
- 2021-09-16
-
- 견디기는 역동적인 것이다.
- "자, 우리 선수들.이제 이 시간을 잘 견뎌내야 합니다!"축구 결승전.우승컵을 향한 사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전반전과 후반전이 이미 끝난 연장전. 빗장 수비로...
- 2021-09-15
-
- 좋아하는 책이 절판되었을 때 드는 세 가지 생각
- 아트 마크먼의 스마트 싱킹이 절판되었다는 소식을 처음 접한 것은 토요 심리학이 2회 차 진행될 때였다. 학습 멤버들이 책을 사려는데 절판이 되어 책을 팔...
- 2021-09-15
-
- 문화상대주의의 딜레마
- 사실 좀더 일찍 썼어야 할 글입니다. 문화상대주의 다음에 바로 나왔어야 하고 "슈퍼맨은 왜 미국으로 갔을까"에 들어갔으면 좋았을 테지만.. 상황이 여의치 ...
- 2021-09-14
-
- 당신을 진심으로 존중합니다 (1)
- 1. 우리는 진정 타인을 존중하는가?A팀장과 B과장의 대화 중상사. 김 과장, 잠깐 와봐부하. 네! 팀장님!!상사. 자꾸 이런 식으로 할래요?부하. 네? 어떤 거 말씀이...
- 2021-09-13
-
- 아동 도덕관 발달은 일정한 순서 거쳐 발전 …부모와 상호작용 중요
- 사진=글로벌이코노믹지난 번에 콜버그(Kohlberg)의 도덕관 발달 연구를 소개하면서 도덕관이 어떤 단계를 거쳐서 발달하고, 또 각 발달단계의 특징이 어떤지를 ...
- 2021-09-10
-
- 거절의 발견
- 계획표를 쓰는 일상이 이어졌다. 아주 쉬운 계획표라서 그냥 일상생활을 하기만 하면 됐다. 하지만 전처럼 우울하다고 누워만 있다면 지킬 수 없는 그런 것이...
- 2021-09-10
-
- 당신이 매일 쓰는 파워포인트가 우주왕복선을 폭발시켰다
- " 컬럼비아호 우주왕복선의 폭발사고는 파워포인트 때문일까? "“ 왜 강수량은 비올 확률 50%라고 하고, 태풍은 태풍주의보라 할까? ” 심리학의 여러 ...
- 2021-09-09
-
- 한국에서 변신의 의미
- 한국의 문화콘텐츠에는 변신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드뭅니다. 힘을 숨기고 살다가 영웅으로 변신하는 슈퍼맨류는 물론, 옆나라 일본이 원조격인 변신로봇물, ...
- 2021-09-08
-
- 행복한 아이가 행복한 미래를 만든다
- 글을 쓰는 사람이 어떤 글이건 쉽게 생각하거나 소홀하게 쓰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유난히도 아이들과 관련된 글을 쓸 때에는 좀 더 진지하면서도 한...
- 2021-09-06
-
- 삶을 보듬어주는 글, 글
- 어릴 때부터 장래희망을 써내라고 하면 쓸 것이 없었다. 매번 대충 생각나는 대로 써서 냈다. 그래서 학교 생활기록부의 장래희망은 뒤죽박죽이다. 그림을 그...
- 2021-09-06
-
- '씁쓸하다'의 문화심리학적 의미
- 한국인들이 자주 느끼는 정서 중 하나는 씁쓸함입니다. 문화심리학자로서 그렇게 생각하게 된 계기가 있는데요. 김연아 선수가 밴쿠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
- 2021-09-06
-
- 나는 매일 아침 이부자리를 정돈합니다.
- 내가 나를 바꾸어야겠다고 마음먹고 제일 먼저 목표로 삼은 것은 '이부자리 정돈'이었다. 당시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이라는 책에서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무...
- 2021-09-03
-
- 취약성에 대한 존중
- 아이 셋이 함께 놀다 보면 의견이 항상 갈린다.너무 신기하게도한 번도 통일된 의견을 내놓지 않는다.그래서 아이 셋과 나까지함께 뭔가를 해나가야 할 때무...
- 2021-09-01
-
- 사람은 죽음을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삶의 의미 크게 달라진다
- 인간만이 자신이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사는 존재이다. 물론 매시간 의식하고 생활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실 대부분의 시간 사람은 자신이 죽는다는...
- 2021-08-30
-
- 내가 나르시시스트?
- 나르시시스트는 우리말로 자기애성 인격장애라고 한다. 본인이 타인보다 낫거나, 비교 대상이 없거나, 특별하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본인의 가치와 업적은 과...
- 2021-08-30
-
- 한국인과 일본인의 문화적 방어기제
- 방어기제는 욕구의 좌절로 인한 불안에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기제입니다. 문화는 욕구 충족의 체계입니다. 자연히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처리...
- 202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