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



최근 심리치료 동향을 살펴보면, 단순히 상담만을 기반으로 한 치료가 아닌 미술, 음악, 등의 예술과 접목시켜 치료하는 학문이 발달하고 있다. 영화치료 또한 그 예시인데, 이러한 예술치료의 장점은 표현에서 시작되는 예술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자아를 표현하고 내면에만 쌓아두었던 갈등을 해소하게 되어 정신을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영화치료는 영상물인 만큼 지능이 낮은 사람들이나 청소년한테 접근성이 좋다. 무엇보다 모든 인문학이 그렇지만, 특히나 영화는 우리가 경험할 수 없는 세상과 삶까지 생생하게 간접경험을 가능하게 해 감정이입과 공감에 효과적이다. 더불어, 여러명이서 모여서 의견을 나누며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토론도 가능하기 때문에 집단상담이 가능하다. 


울고 싶어서 영화작품을 본 경험이 있는가? 필자는 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필자는 예술작품을 즐기는 편이다. 드라마 덕후이며, 영화관 가는 것을 좋아한다. 연극, 미술관도 종종 가곤 한다. 제일 중점적인 것은 드라마와 영화를 즐긴다는 점인데, 필자에게 드라마와 영화는 그저 시간을 보내는 취미용이 아니다. 과거에 대한 위로, 현재에 대한 동기, 미래에 대한 희망을 선사해준다. 특히, 필자는 현재 상황에 공감되는 등장인물과 드라마를 선택해서 정주행하고 울고, 웃고 한다. 어쩌면 약간의 방어일지도 모른다. 내가 울고 싶은 마음을 들키고 싶지 않아서 영화라는 방어막을 이용해 울 수 있는 핑계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문제가 될까? 오히려 자신을 제한하거나 속박하지 않고 울 수 있기에 마음 속 깊은 곳을 구석구석 만져주는 치유를 선물해준다. 이러한 친밀감이 영화치료의 힘이라고 볼 수 있다. 그저 매체에 지날지 몰라도, 그 매체에 등장하는 인간의 삶은 우리에게 무엇보다 큰 힘과 위로가 되는 것 말이다.


영화를 통한 치유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대중적이면서도 필자가 좋아하는 영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데이미언 셔젤 감독의 ‘라라랜드’이다. 라라랜드는 LA를 배경으로 하며, 겨울로 시작해서 사계절이 흘러가며 5년 후 겨울이 결말의 배경이 된다. 이 영화는 뮤지션을 꿈꾸는 남자주인공과 배우를 꿈꾸는 여자주인공이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와 이후 결국 결별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이 영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남녀의 뻔한 사랑이야기가 아닌, 현실의 벽을 인정하며 결별하는 결말을 통해 현실과 맞닿은 우리의 인생을 보여주며 영화와 현실과의 괴리를 줄인다.


이 영화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우리와 동일하게 열정적으로 꿈을 갈망하며 살아간다. 이들은 영화 등장인물이라는 특혜없이 뼈저린 실패와 좌절, 꿈을 향해 달려가며 뜨거운 사랑을 경험하다가도, 꿈을 향해 달려가야 하기에 그 사랑을 포기해야하는 순간들을 맞닥뜨린다. 이 점은 이 영화가 영화치료로 쓰이기 좋은 작품이라는 생각을 들게 한 이유기도 했다. 우리의 삶과 하나 다를 것 없이 삶에서 실패와 좌절 포기를 경험하는 것을 보여주며 우리의 삶을 재연하며 우리의 삶을 공감하고 위로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달려가는 방향 속에서 결국 선택하고 판단해야 되는 과정 가운데 포기해야만 하는 것들에 대한 아픔과 고통을 공감해준다. 우리에게 동질감을 선물해준다.


영화치료의 장점 중 또 하나는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치료가 아니라, 스스로 답을 알아가고 스스로를 위로하는 능동적인 치료라는 점에 있다. 영화는 120분 가량의 영상에 그치지 않고 우리에게 질문을 내던진다. 앞서 말한 영화 라라랜드는 우리에게 각자에게 성공한 삶의 의미와 자신의 삶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묻는다. 사랑인지 꿈인지, 돈인지 사람인지 생각해보게 하는 것이다. 답을 찾아가며 스스로를 알아가며 판단을 통한 선택으로 인해 포기해야하는 절망이 다가와도 우리에게 단단할 수 있는 힘을 주게 된다.


영화치료는 지금 이 곳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외롭고 마음이 아픈 당신, 지금 당장 영화를 틀어라. 영화가 하는 질문에 경청해보며 답을 찾아가면, 외로울 틈도 없이 해답을 찾느라 마음이 분주하고 들뜬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지난기사

건강한 연애를 꿈꾸며

돈은 우리를 불행하게 할까?

드라마는 어떻게 우리를 위로하나요?





출처

김정숙, and 김수진. "영화치료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간호과학논집-전남대학교 19.1 (2014): 31-45.

최성민. "영화를 통한 치유의 효과-< 라라랜드> 등 데이미언 셔젤 감독 영화를 대상으로." 문학치료연구 58 (2021): 149-180.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956
  • 기사등록 2023-04-03 07:46: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