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서재
그날 밤,
불은 꿈처럼 조용히 번졌다.
처음엔 연기만 피어올랐다.
양반가의 창고 뒤,
노비들이 묶어두던 천 조각에서 시작된 불씨였다.
그리고—
그 천 위엔 종이 인형 하나가 놓여 있었다.
인형엔 이름이 적혀 있었다.
— 김 응 철
아침 — 관아 앞
“윤설화다!”
“그년이 저주를 건 거야!”
“꿈에서 봤단 말이야, 김 대감이 쓰러지는 걸…!”
사람들은 서로의 두려움을 뒤엉켜 퍼뜨렸다.
이제 설화는 더 이상 수상한 여인이 아니라, 저주를 거는 자였다.
장하율, 벽 앞에서 멈춰 서다
“……아니야.
그럴 리 없어.”
하율은 어젯밤 설화의 방을 다녀온 걸 떠올렸다.
그녀는 인형을 태우지 않았고,
오히려 손에 쥐고 조용히 기도하듯 읊조리고 있었다.
“다시는… 아무도 다치지 않게 해주세요…”
마을 사람들, 칼을 들다
“윤설화를 불러라!”
“그년을 불태워야 이 꿈에서 벗어날 수 있어!”
김응철의 창고에 불이 나고,
그가 기절한 채 발견된 사건은
마을 사람들의 공포를 확신으로 바꿔버렸다.
“그 종이인형,
내 아들도 받았어!
그 후로 계속 고열에 시달려!”
설화의 방, 그날 저녁
설화는 자신의 손을 바라보았다.
작은 화상 자국 하나가 남아 있었다.
“…난 안 그랬어…
진짜… 이번엔 아무 짓도 안 했는데…”
그녀의 손은 떨렸고,
눈물은 굳은 살 사이로 흘렀다.
은애의 울부짖음
“언니! 도망쳐요!
지금 이방들이 집 앞으로 왔어요!”
설화는 고개를 저었다.
“…도망쳐도…
이젠, 내가 만든 거라서…”
“무슨 말이에요!
언니가 뭘 만들었는데!”
“공포야…”
설화는 조용히 웃었다.
“…사람들이 나를 무서워하게 만든 건…
결국 나였어.”
그 순간, 하율이 나타나다
“그만하오!”
하율은 사람들 앞에 섰다.
등 뒤엔 칼을 든 군졸들,
앞엔 겁에 질린 마을 사람들.
“이건 꿈이 아닙니다!
이건, 공포에 조종당한 사람들의 환상일 뿐입니다!”
“그년은 악귀야! 나리조차 물든 겁니다!”
“아니오.”
하율은 설화를 바라보며 말했다.
“…그녀는, 단 한 번도
누구를 다치게 하려 한 적이 없었습니다.”
설화의 무너짐
“…하율… 나리…”
설화는 울음을 삼키듯 중얼거렸다.
“…그 말,
처음이야.
내가 사람이라는 말…”
하율은 조용히 그녀의 손을 잡았다.
작가의 말 :
공포는 가장 먼저 혐오를 만들고,
그다음엔 누군가를 향한 칼을 들게 합니다.
설화는 자신이 ‘공포의 존재’가 된 걸 깨달았고,
하율은 이제 단순히 그녀를 이해하는 사람을 넘어,
온 세상 앞에서 그녀의 편이 되어주기로 결심했습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