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그날 이후,

마을은 더 이상 잠들지 못했다.


누군가는 밤마다 꿈에서 설화를 보았고,

누군가는 더 이상 꿈을 꾸지 못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누구도 더는 그녀를

‘저주’라 부르지 않았다.




설화의 방 — 햇빛이 든 아침


설화는 창을 열었다.

처음으로 등불이 아닌 햇살이 방을 비추고 있었다.


“…오늘은… 따뜻하네.”


작은 화분 하나가 문틈 사이에 놓여 있었다.

안에는 조그마한 붉은 꽃이 한 송이.

은애가 남긴 쪽지가 함께 놓여 있었다.


“언니의 진짜 꿈은,

이 작은 꽃처럼 피는 거였을 거예요.”




관아 마당 — 김응철과의 대면


“대감… 저를… 왜…”


김응철은 설화의 앞에 조용히 섰다.

예전 같았다면 절대 가능하지 않았을 장면이었다.


“넌,

사람이었더구나.”

“…저는… 사람이 아니라,

그저… 감정 하나로 버티던… 그림자였어요.”

“허면,

이제 그 그림자에서 나올 시간이 아니겠느냐.”




하율과 설화 — 함께 걷는 길


“설화.”

“…….”

“당신은 날 조종하지 않았소.

그건… 내가 스스로 선택한 감정이었소.”


설화는 하율을 바라봤다.

눈이 부셨다.

그의 눈동자엔 공포도, 두려움도 없었다.


“하율 나리…

전, 이제야 꿈에서 깨어나는 것 같아요.”




은애와 김세윤 — 골목 끝에서


“그 사람들,

곧 떠날 거래요.”

“그래.

하지만 넌 안 떠나도 돼.”

“……?”

“넌 이곳에서,

‘사람’으로 남아도 되니까.”


김세윤의 손이

은애의 손 위에 조용히 얹혔다.




마지막 장면 — 설화의 고백


설화는 다시 종이인형 하나를 꺼냈다.

그 위엔

처음으로 자신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 윤 설 화


“이제,

나는 나를 잊지 않을 거예요.”


그녀는 인형을 태우지 않았다.

그저 손으로 꼭 쥐고,

햇살이 든 길을 천천히 걸어갔다.




작가의 말 :

사람은 기억을 잊을 수는 있어도,

마음을 잃지는 않습니다.

설화는 잃어버렸던 마음을 다시 붙잡았고,


하율은 그 마음에 손을 내밀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문틈 사이로 피어난 작은 꽃처럼,

그들의 삶은 이제

햇살을 향해 피어날 준비를 마쳤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0093
  • 기사등록 2025-04-22 09:12: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