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유예림 ]


Unsplash


돈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 사람들은 종종 남들이 이해하기 힘든 결정을 내리곤 한다. 재무 의사 결정은 현대에 와서 더욱 불확실하고 위험해졌다. 지진이나 홍수처럼 인간의 힘으로 막거나 피하기 어려운 자연적 재난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경제적 위기 상황도 있다. 그런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이 결과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을 보인다. 통제의 환상(illusion of control)에 빠지는 것이다.

 

통제의 환상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기다릴 때 버튼을 연속해서 누르는 사람들이 있다. 마치 버튼을 여러 번 누르면 엘리베이터가 더 빨리 오기라도 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엘리베이터의 속도와 버튼 누르기는 아무 상관도 없다.

 

논문 “Illusion of Contro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Moderators in Financial Decision Making”에서 연구자 Tobias Schütze, Ulrich Schmidt, Carsten Spitzer과 Philipp C. Wichardt는 과거 1997년에 Uri Gneezy와 Jan Potters가 개발한 복권 투자 과제 실험을 수정하여 실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가상의 40유로를 주고 해당 금액 안에서 각 4유로인 복권을 구매할 수 있게 했다. 최대 10장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당첨 시 각 티켓은 9유로의 보상이 있게 설정하고 6면체 주사위를 던져 주사위의 3개의 면은 당첨되고 나머지 3개의 면은 낙첨되는 50%의 당첨 확률을 가지게 했다. 따라서 더 많은 티켓을 구매할수록 결과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위험이 증가하도록 실험을 설정한 것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자신이 복권의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 평균적으로 더 많은 복권을 구매하였으며 이미 숫자가 정해져 있는 복권은 덜 구매했다.

 

이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금전적 결정을 내릴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 감각 추구(sensation seeking) 성향이 높은 참가자들은 주사위를 던지기 이전에 복권을 구매할 때 더 많은 복권을 구매해 더 위험한 투자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선택은 미래의 불확실한 결과에 자신의 선택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으며 위험을 감수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다른 심리적 특성으로는 애착 스타일(attachment style)이 있는데 회피형(avoidant) 애착과 불안형(anxious) 애착으로 나뉜다. 해당 참가자들 중 회피형 애착과 불안형 애착이 높지 않은 사람들은 당첨 결과가 이미 결정되어 있을 때 결과가 공개되기 직전에 더 많은 복권을 구매했다. 하지만 회피형 애착이나 불안형 애착이 높은 참가자들은 복권 구매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 참가자들이 보인 모습은 통제의 환상이 그저 “내가 선택했으니 결과도 내 의지대로 될 것”이라는 인지적 착오가 아니라 개인의 감정 상태나 성향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감각 추구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미래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한다. 반대로 불안이나 회피가 낮아 상대적으로 안정된 심리 상태의 사람들은 이미 결과가 정해진 상황에서 자신이 상황을 바꿀 힘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생각해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한다. 당연하게도 불안이 높을수록, 회피가 높을수록 경제적 결정을 내릴 때 위험 감수를 피한다는 것이다.

 

해당 실험은 금융 의사 결정 상황에서 사람들은 개인의 심리 상황에 따라 다른 결정을 내린다는 것을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통제의 환상이 개인의 착각이나 잘못된 믿음이 아니라 개인의 감정과 성향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고 주식 시장과 같은 금융 시장에서 사람들의 비합리적인 투자 행동을 이해하고 예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참고문헌

Schütze, T., Schmidt, U., Spitzer, C., & Wichardt, P. C. (2024). Illusion of Contro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Moderators in Financi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Risk and Financial Management, 17(2), 65. https://doi.org/10.3390/jrfm17020065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0272
  • 기사등록 2025-06-09 08:26: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