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윤하림의 웃음은 정돈되어 있다.

입꼬리는 정확히 좌우 15도씩 올라가 있고,

눈꼬리는 그보다 5도 더 유연하게 휘어진다.

소리는 나지 않지만 미소는 퍼진다.


그녀의 웃음은 '감정'이 아니라 '기능'이다.

‘이 교실의 균형’을 지켜야 한다는 강박이

그 미소를 기계처럼 움직인다.


나는 그녀를 처음 본 순간

그 사실을 직감했다.


정오가 지나고,

급식 시간이 끝나갈 무렵.


나는 교실 한쪽에 설치된

심리상담실 연결용 쪽지함 앞에 섰다.


학교는 최근 자살 사건 이후

학생 대상 심리상담 신청을 유도하고 있었고,

나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윤하림에게 ‘상담 요청 쪽지’를 보냈다.

쪽지엔 이렇게 적혀 있었다.


“반장님, 담임선생님께 들었어요.

사건 이후 많이 힘들어 보인다고요.

혹시… 조금만 이야기 나눌 수 있을까요?”


보낸 이름은 가명이었다.

상담 자격도 위장이었다.

그러나 중요한 건 대화의 접점이다.


5교시가 끝난 뒤,

나는 지정된 ‘상담 공간’에 앉아 있었다.

별도로 확보된 빈 교실.

책상 하나, 의자 둘, 그리고 창문.


그리고 3분 뒤,

윤하림이 들어왔다.

그녀는 정중했다.


“저… 오셨군요.

제가 먼저 인사도 못 드렸네요.”


그 목소리는 밝았고,

말투는 교과서 같았다.

나는 간단히 인사를 건넨 뒤,

조용히 본론으로 들어갔다.


“윤태 학생과는, 평소에 가까우셨나요?”


그녀는 미소를 지은 채

고개를 천천히 저었다.


“그렇게까지 친하진 않았어요.

조용한 친구였으니까요.”


나는 한 박자 쉬고 물었다.


“그런데, 윤태 학생이 사라진 날…

하림 학생이 마지막으로 옥상에 함께 있었단 얘기가 있어요.”


그녀의 미소가 살짝 굳었다.

입꼬리는 그대로지만,

눈꼬리가 딱 2도 정도 무너졌다.


“그건… 우연이에요.

저도… 그가 그럴 줄은 몰랐어요.

그날, 윤태는 웃고 있었거든요.”

“…웃었다고요?”

“네. 분명히요.”


그녀는 그 말을 반복했다.

마치 그것이 ‘정답’인 듯.

윤태가 웃고 있었다.

그 웃음은 정말 웃음이었을까.


혹은—


누군가를 안심시키기 위한 방어였을까.

그 방어는 누구를 향한 것이었을까.

나는 노트에 적는다.


“윤하림 — 감정 미러링 없음.

입꼬리와 대답은 일치하나,

눈동자 미세 떨림 1.2초.

‘웃고 있었다’는 말 반복 → 심리적 탈감각화 혹은 왜곡 방어 가능성.”


그날 밤,

기숙사로 돌아와

내 노트를 펼쳤다.

내가 받은 윤하림의 ‘심리상담 기록’에는

흥미로운 문장이 한 줄 있었다.


“그 아이는 늘 웃었어요.

가끔은… 너무 많이 웃어서 무서울 정도였죠.”


작성자는 담임교사, 송수진.

기록일자는 자살 2주 전.

나는 그 문장을 노트에 옮겨 적었다.

웃음은 가장 오래된 가면이다.




작가의 말 :

2화에선 교실 속 첫 ‘균열자’, 윤하림을 조명했습니다.

완벽한 학생, 반장, 책임감 있는 모범생…

그녀는 교실에서 언제나 빛나는 역할을 맡고 있었지만,

그만큼 가장 두꺼운 방어기제를 두르고 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종종

‘늘 밝은 아이’가

가장 위험하다는 걸 잊습니다.

웃음 뒤에 숨어 있는 감정은

슬픔일 수도 있고,

분노일 수도 있으며,

혹은— 공포일 수도 있습니다.

3화에서는 윤태의 유일한 친구였다는

조현빈의 시점으로 진실의 두 번째 조각을 살펴봅니다.

그는

절대 울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날도, 지금도.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0288
  • 기사등록 2025-05-20 10:08: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