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
[한국심리학신문=김수현 ]
“새엄마, 우리 재밌는 놀이 하자.”
▲ SBS 드라마 <</span>지옥에서 온 판사> 4화 중 한 장면
주인공 강빛나(박신혜)가 죄인을 심판하고 있다.
작년 9월 방영한 SBS 드라마 <지옥에서 온 판사> 중 한 장면이다. 아동 학대범이 저지른 짓을 강빛나(박신혜)가 똑같이 되돌려 주고 있다. 새엄마(임세주)는 재혼한 남편의 아들을 학대하고, 보험금을 얻기 위해 남편을 사고로 위장해 살해하는 악인이다. 악인을 재판하는 이 장면은 시청자들에게 사이다를 줌과 동시에 아동 학대 현실을 떠올려 씁쓸하게 한다.
• 부모는 왜 자녀를 학대하는가
아동 학대란 부모 혹은 보호자가 아동에게 신체적•정서적 학대를 가하거나, 아동을 돌보지 않고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 통계청 KOSIS에 따르면, 한국 아동 학대는 건수는 2021년 37,605건으로 최고치를 찍었으며, 2023년 25,739건으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인다.
놀랍게도 대부분의 아동 학대는 가정 내에서 이뤄진다. 아이들을 보호해야 할 부모가 아이를 학대하는 것이다. 눈에 넣어도 안 아픈 게 자식이라는데, 왜 부모는 자녀를 학대하는 것일까?
아동 학대의 원인으로는 크게 9가지가 있다.
1. 부모의 미성숙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울기, 애정과 안정감이 얻기 위해 부모를 따라다니기. 이와 같은 아동의 행동이나 욕구를 이해하지 못하고, 자녀의 요구를 부정적으로 해석하며, 아동 학대를 하면서 그것이 아동 학대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2. 아동 양육에 대한 지식 부족
아동 발달 단계와 아동을 어떻게 키우는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3.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
부모는 자녀의 능력•의사와 관계없이 높은 기대치를 설정하고, 자녀가 그 수준에 맞게 행동하기를 바란다. 한창 논란이 된 ‘7세 고시’, ‘4세 고시’가 이 유형에 해당한다.
5. 정서적 욕구 불만
외부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아동에게 터뜨려 자신의 감정을 해소한다.
6. 사회적 고립
육아를 도와줄 수 있는 가족, 이웃, 친구가 없어 아동을 학대한다.
7. 어릴 적 겪은 학대 경험
어릴 적 학대를 겪은 부모는 자신의 자녀를 학대할 가능성이 높다. 학대 경험이 학습되어서 부적절한 양육 태도와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부모의 학대가 자녀 세대로 이어지는 사회적 악순환이다.
8. 부모의 그릇된 아동관과 양육관
아동을 소유물로 생각하고, 아동에 대한 권리•의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자녀에 대한 학대를 당연시하거나, 체벌과 훈육을 구별하지 못하기도 한다. 실제로 11살 아들을 야구방망이로 때려 숨지게 한 40대 아버지는 재판 과정에서 “아이의 거짓말이 반복돼 부모의 책임감으로 훈육했다”며 선처를 호소했다.
9. 낮은 자아존중감, 분노, 우울증 등 심리적 문제
• 성인이 되도 벗어나지 못한다
어린 시절 학대는 자녀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및 사회적응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자녀는 성인이 되어서도 어린 시절 학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1. 낮은 삶의 만족도
아동 학대 경험이 있는 성인은 사회 참여도가 낮고, 사회적 박탈감을 호소하며, 제대로 된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삶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다.
2. 인권 의식 저해
아동은 부모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인권 의식을 형성한다. 그러나 아동 학대는 부모가 아동의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행위다. 부정적 자아를 형성하고 사회적 발달을 저해하게 만들어 아동은 인권 의식 형성의 어려움을 겪는다.
3. 아동 학대 피해자의 범죄자화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동 학대 경험은 범죄 건수, 횟수에 영향을 미쳐 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어 자녀를 학대하는 악순환
• 마무리하며
그래서 아동 학대는 조기 파악과 적절한 지원이 중요하다. 아동의 심리 회복을 위해 심리•트라우마 치료를 시행해야 하며, 부모가 양육 능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부모와 자녀 간의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피해 아동을 가해 부모와 다시 붙여 놓으라는 말이 아니다. 부모가 미성숙하거나, 어릴 적 학대 경험이 있거나, 단지 양육 지식이 부족해서 그랬던 것이라면 충분히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실제로 재판부는 피고인이 교화의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처벌을 선고한다.
아동 학대가 하루빨리 사라지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참고 문헌]
최종일. (2025년 5월. 15일). “부모의 책임감으로 훈육”…11세 아들 때려 숨지게 한 40대 男.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ociety/11318395
김은경. (2025).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46-56.
박선주, 김준수. (2024). 아동학대의 피해 경험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보건과 복지, 26(3), 345-374. 10.23948/kshw.2024.09.30.3.345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beautyangle082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