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서재
최윤재는 반에서 조용한 축에 속하지 않았다.
그는 인기 있는 아이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투명한 존재도 아니었다.
그는 늘 적당한 위치에 있었다.
중앙이 아니라,
중앙에서 살짝 비껴난 곳.
‘중립’이라는 방어막 속에서.
하지만 그런 그가
윤태에게 마지막 메시지를 받은 사람이라는 건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그가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무도 묻지 않았기 때문이다.
윤재는 상담 요청에 처음엔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읽지 않은 메시지’에 대한
한 통의 쪽지가 그의 사물함에 꽂힌 뒤,
그는 내 앞에 나타났다.
“그건… 진짜로 말하면 안 되는 거잖아요.”
그의 첫마디였다.
“왜요?”
“말하는 순간,
나한테 책임이 생기니까요.”
그 말은 정직했다.
그리고 동시에… 깊게 흔들렸다.
나는 조심스럽게 물었다.
“그 메시지,
언제 봤나요?”
그는 잠시 침묵하다 대답했다.
“그날 밤… 11시 48분.
자기 전에,
침대에서 마지막으로 폰 봤어요.”
“읽고, 답은 안 했나요?”
“…네.”
“왜요?”
윤재는 손을 깍지 낀 채
책상 위를 응시했다.
“내용이… 애매했어요.
뭐랄까… 그냥 그런 말들.
그냥,
‘힘들다.
너한테만 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날 일은 기억나지?’
같은 말들.
근데, 솔직히
저도 기억나지 않았거든요.”
그는 덧붙였다.
“아니… 기억나는데,
그냥… 그걸 말해주는 게
더 큰 일이 될 것 같아서요.”
나는 윤재에게
윤태가 남긴 일기장을 보여줬다.
죽기 전 일주일간
그가 직접 적었던 글들.
그 안에는
이름은 없지만
‘어떤 친구’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
“그 애는 나한테 말했었다.
‘우리 둘만 안 본 걸로 하자’고.
근데,
나는 계속 그 장면을 본다.
밤에도,
문을 열 때도,
계단을 내려갈 때도.”
나는 물었다.
“혹시… 그 ‘둘’ 중 한 명,
윤재 학생 아닌가요?”
윤재는 대답하지 않았다.
하지만 손끝이 떨렸다.
그는 조용히 말했다.
“그날,
사실 난 말렸어요.
그 사람이 그럴 줄 몰랐어요.
난… 윤태한테 직접 말한 적 없어요.
그날 일에 대해.
그냥, 조용히 있으면 끝날 줄 알았어요.”
“그럼 윤태는…
누구에게 말했을까요?”
“아마… 저요.
그날 밤, 그 톡은
말이 아니라 구조 요청이었을 거예요.”
나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였다.
윤재는 마지막으로 말했다.
“그때… 단 한 줄이라도
‘괜찮아?’라고 답했다면
어땠을까요.”
그 목소리엔
후회의 그림자가 깃들어 있었다.
그리고 그 그림자는
그의 발끝을 따라 교실 바닥까지 번지고 있었다.
작가의 말 :
6화는 ‘읽었지만 답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요즘 우리는
수많은 메시지를 받고,
읽고,
때로는 무시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하루의 끝에 무거운 죄책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망각합니다.
최윤재는 가해자도, 피해자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누군가에게는
마지막으로 손을 내밀 수 있었던 단 한 사람이었습니다.
말은 늦을 수도 있고,
침묵은 기억됩니다.
그의 무응답은
윤태에게 하나의 결론이었는지도 모릅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