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서재
“얘들아, 고윤태가 남긴 그림 봤어?”
그 말은 쉬는 시간,
누군가의 입에서 툭 튀어나왔다.
말을 꺼낸 건 체육부장 이승훈이었다.
“얼굴 없는 그림 말이지?
그거 무섭더라.”
아이들은 키득이며 수군댔지만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 그림은,
내가 유일하게 본 사람이니까.
방과 후.
나는 다시 교실로 돌아갔다.
가방에 고이 접어 넣은 윤태의 스케치북을 꺼냈다.
책상에 펼쳐본다.
지워진 얼굴.
그림 아래,
다시 보이지 않았던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
‘숫자…?’
그림 아래 조그맣게,
‘3-7-4-2’
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지만,
뭔가 이상하리만큼 불길한 기분이 들었다.
그날 밤.
나는 도서관에 남았다.
윤태의 스케치북,
그리고 지난 교내 문집들 속에서
그의 이름이 나왔던 페이지를 찾았다.
201X년 2학년 4반.
그 해,
교내 폭력 사건으로 전학을 간 학생이 있었다.
피해자도, 가해자도—
기록에는 없었다.
다만,
문집 한쪽 모서리에 적힌 이름 하나.
‘윤태에게 미안해.’
라는 연필 흔적이 남아 있었다.
그 밑에 서툰 필체로 덧대어진 말.
‘그래도 난 말 못 해.
너무 무서워서.’
그때,
도서관 불이 깜빡였다.
나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창가로 향했다.
운동장 한가운데,
누군가 서 있었다.
교복.
긴 그림자.
그리고 들고 있는—
스케치북.
“그림자…”
나는 입을 다물었다.
그리고 깨달았다.
윤태가 남긴 스케치북 속 ‘지워진 얼굴들’은—
사라진 인물들이 아니라,
그의 기억 속에서 '지워지고 싶었던 얼굴들'이었다.
그리고 그 한 가운데—
아직 얼굴이 남은 단 한 명.
그 이름은,
이승훈.
작가의 말 :
10화는 이 시리즈의 전환점입니다.
지금까지는 ‘죽은 아이’ 고윤태의 존재가 이야기의 중심이었다면,
이제부턴 살아 있는 자들의 침묵이 드러나는 구조로 넘어갑니다.
윤태는 그림을 통해 복수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말 그대로,
누가 자신을 지우고 있었는지 보여주고자 했던 것입니다.
‘침묵의 교실’이라는 이름처럼
누구도 입을 열지 않고,
누구도 나서지 않았기에,
그는 얼굴이 지워지는 고통을 홀로 견뎌야 했죠.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