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임은서 ]




스트레스는 항상 문제일까?


현대인들은 삶을 살아가며 하루에도 몇 번씩 크고 작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친구 관계에 문제가 생기거나 직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거나 업무가 과도하게 많은 상황 등에서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한다. 인터넷에 ‘스트레스’라는 단어만 검색해도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며 부정적이라는 인식이 많이 나오고 스트레스 해소법에 대해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자기계발서도 많이 출판되고 있다. 항상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는데 이렇게 평생을 하나의 숙제처럼 스트레스 해소를 해야 하는 것일까?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인 3만명을 8년간 추적하여 어떤 사람들이 조기에 사망하는지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가 사망률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았다고 한 사람들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한 사람들의 사망률이 43% 더 높았다. 하지만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한 사람 중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고 믿었던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었다. 오히려 스트레스는 많이 받았지만 건강에 해롭지 않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았다고 하는 사람들보다 사망률이 더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즉, 스트레스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 사람들만 조기 사망 위험이 43%나 증가한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는 것 자체로는 너무 부정적이지 않게 생각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던 연구다.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마주할 때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실험자에게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심장 박동이 빨라지는 것은 앞으로 곧 다가올 어려움에 맞서서 신체를 준비시키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호흡이 가빠지는 것은 산소를 뇌에 빨리 공급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뇌가 잘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스트레스가 신체에 해롭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 결과 실험자들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수축되었던 혈관이 스트레스를 받고도 이완된 상태로 지속된 것을 발견했다. 이렇게 혈관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것은 우리가 용기를 낼 때 몸의 상태와 같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스트레스는 단순히 피해야 하는 감정이 아니고 우리 안의 잠재력을 깨우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스트레스가 우리 몸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많이 나오고 있다. 그중 하나는 스트레스가 쥐를 똑똑하게 만든다는 연구다. 쥐를 우리에 가두고 스트레스 호르몬을 치솟게 만든 후 우리에서 풀어주었는데 2주 후 스트레스를 받은 쥐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쥐에게 기억력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를 받은 쥐들이 그렇지 않은 쥐들에 비해 월등히 기억력이 좋은 것을 발견했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가 집중력과 인지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과 DHEA라는 호르몬이 나오는데 코르티솔이 많이 나오면 성장을 중단시키고 면역체계에 장애를 준다. 하지만 DHEA가 많이 나오면 신경 퇴화가 억제되고 우울감이 완화되며 면역체계가 활성화되고 집중력과 인지력이 높아진다. 이렇게 반대되는 두 호르몬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동시에 나오는 신기한 현상을 활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자들에게 스트레스를 받게 하고 스트레스가 몸에 이롭다는 영상을 3분간 시청하게 한 후 다시 스트레스를 받게 했다. 그 결과 코르티솔 변화가 없었지만 DHEA의 분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를 해롭게만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실제 몸에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적용되었다.

 


글을 마치며


과도한 스트레스는 위험할 수 있지만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지하며 잘 활용한다면 스트레스가 우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너무 힘들고 삭막한 삶 속에서 힘들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보다는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살아가는 것도 더 나은 삶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있다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며 스트레스 자체를 새로운 자원으로 여기는 것도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1) Elizabeth D Kirby, Sandra E Muroy, Wayne G Sun, David Covarrubias, Megan J Leong, Laurel A Barchas, Daniela Kaufer. (2013). Acute stress enhances adult rat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activation of newborn neurons via secreted astrocytic FGF2. eLife.00362. https://doi.org/10.7554/eLife.00362

2) Kirstin Aschbacher, Aoife O’Donovan, Owen M. Wolkowitz, Firdaus S. Dhabhar, Yali Su, Elissa Epel. (2013). Good stress, bad stress and oxidative stress: Insights from anticipatory cortisol reactivity. Psychoneuroendocrinology. Volume 38. Issue 9. Pages 1698-1708.

3) Keller, Abiola. Litzelman, Kristin. Wisk, Lauren E. Maddox, Torsheika. Cheng, Erika Rose. Creswell, Paul D. Witt, Whitney P. (2012). Does the Perception That Stress Affects Health Matter? The Association With Health and Mortality. Health Psychology. Volume 31, Issue 5. Pages 677-684.

4) amieson, Jeremy P. Black, Alexandra E. Pelaia, Libbey E. Gravelding, Hannah, Gordils, Jonathan, Reis, Harry T. (2022). Reappraising Stress Arousal Improves Affective, Neuroendocrine, and Academic Performance Outcomes in Community College Classroom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GENERA. Volume 151, Issue 1. Pages 197-212.

5) Kelly McGonigal. 스트레스를 친구로 만드는 법 [TEDGlobal]. (2013). https://www.ted.com/talks/kelly_mcgonigal_how_to_make_stress_your_friend?utm_campaign=tedspread&utm_medium=referral&utm_source=tedcomshare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0456
  • 기사등록 2025-07-01 08:35: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