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지하실의 불빛은 흐릿하게 떨리고 있었다. 

깨진 형광등이 불규칙하게 깜빡이며, 

공간 전체에 불안과 긴장을 증폭시켰다.

윤설화는 숨을 죽인 채 벽 뒤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그녀의 손엔 낡은 스케치북이 들려 있었고, 

그 위에는 장하율의 이름이 적힌 페이지가 찢겨 있었다.

그 순간, 무너진 철제 캐비닛 사이에서 누군가의 신음이 들려왔다.


“...하림...”


설화는 귀를 의심했다. 

분명 장하율의 목소리였다.


“하림, 그만해... 제발...”


설화는 떨리는 손으로 손전등을 들어 소리가 난 쪽을 비췄다. 

그리고 그곳엔, 온몸이 묶인 채 피투성이가 된 윤태가 있었다. 

그의 얼굴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부어 있었고, 

눈은 허공을 향해 떨리고 있었다.


“윤태?!”


그의 입이 천천히 열렸다.


“설화야... 도망쳐... 하림이... 이건 다... 그녀가...”


그 순간, 등 뒤에서 무언가 날카로운 것이 설화의 목덜미에 닿았다.


“그를 불쌍하다고 생각해?” 


윤하림의 목소리는 낮고 차가웠다. 


“그런 얼굴을 하고도 네가 진실을 안다고 생각해?”


설화는 천천히 돌아보았다.

하림의 눈은 텅 빈 공허 속에서 검붉은 광기를 품고 있었다. 

하지만 그 눈동자 속엔 확실한 고통의 흔적도 남아 있었다. 

사랑과 증오가 뒤섞인, 복잡한 감정의 소용돌이.


“하림아… 나는 네 편이야.”


그 말에 하림의 손이 멈칫했다. 

그리고 떨리는 입술이 열렸다.


“...내 편이라면 왜 날 몰아세웠어. 왜… 날 구하지 않았어...”


그녀의 눈물이 볼을 타고 흘렀다. 

하지만 그 눈물은 단지 슬픔만을 담고 있지 않았다. 

분노, 배신, 그리고 마지막 남은 인간성의 파편이 섞인 눈물이었다.

정이서가 지하실로 뛰어들어왔다.


“설화야!”


이서의 눈이 상황을 파악하자마자, 그녀는 주저 없이 설화 앞에 섰다. 

손에 쥔 핸드폰의 플래시가 번쩍이며 하림의 눈을 찔렀다.


“하림, 멈춰! 우리가 알아. 우리가 다 알고 있어. 너 혼자가 아니야.”


하림의 칼끝이 흔들렸다.


“너희가 뭘 알아? 내 목소리는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어. 아무도.”

“아니.” 


설화가 단호하게 말했다.


“우리가 이제부터 들을 거야. 널, 그리고 그 날의 진실을.”


그 말에 하림의 손이 점점 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무너진 윤태의 신음이 다시 공간을 채웠다.


“...살고 싶어…”


긴 침묵 끝에, 하림의 칼이 손에서 떨어졌다.

피가 떨어지는 소리만이 지하실에 메아리쳤다.




작가의 말 :

하림의 내면이 가장 큰 전환점을 맞이한 회차였습니다. 

우리가 ‘악’이라고 믿는 존재도, 

그 안엔 누군가가 외면했던 절박한 목소리가 숨어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어요. 

앞으로의 이야기는 진실의 중심으로 다가가며 더 충격적인 반전과 마주하게 될 겁니다. 

항상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화에서, 무너진 교실의 진짜 목소리를 함께 들어주세요.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0688
  • 기사등록 2025-07-14 10:04: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