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당신이 계속해서 비슷한 사람을 만나고, 또 상처받는 이유 - 무의식적인 관계 패턴의 반복, 반복강박
  • 기사등록 2021-08-13 09:31:59
기사수정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강다희 ]



우리는 일상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며 관계를 맺는다. 때로는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도 비슷한 관계 패턴이 나타나고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매번 비슷한 사람을 만나 연애를 하고 결국 비슷한 상처를 받거나 비슷한 이유로 헤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관계 양상이 유사하게 반복하게 되는 모습을 프로이트는 ‘반복 강박(repetition compulsion)’으로 설명했다.

 


‘반복 강박(repetition compulsion)’이란?


반복 강박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용어로 유아기에 해결되지 않은 갈등을 의식하지 못한 채 재연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반복 강박을 경험하는 사람은 스스로가 불쾌한 상황에 처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무의식중에 되풀이하게 되며 그 원인이 현실적 상황에 있다고 생각하고, 해결될 때까지 반복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Freud, 1966).

 

가정 폭력으로 부모에게 학대받는 아이를 예로 들면, 아이는 이후 연인 또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어떤 사람을 만나게 될까? 학대받은 경험이 잘못된 것임을 알기에 폭력적이지 않은 사람을 만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그 반대의 경우가 많다. 학대받던 자신의 유아기 경험이 무의식중에 익숙해져 결국 그 경험을 반복하게 되는 폭력적인 상대를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반복 강박은 문제가 될 것을 알면서도 파괴적인 관계 패턴을 되풀이하는 모습을 말한다.

 

심리학자 데니스 홀리는 반복 강박을 ‘안전 지대(Comfort Zone)’로 설명한다. 앞서 말한 어릴 적 학대받은 아이를 예로 들면, 이 아이는 학대가 없는 따뜻한 가정의 분위기를 느껴본 적이 없고 위협적인 분위기에 이미 익숙해져 있다. 물론 위협적인 가정의 분위기가 두렵고 싫더라도, 좋은 분위기의 가정은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익숙한 분위기인 폭력이 가득한 가정을 찾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 아이에게 안전지대는 결국 학대가 이루어지는 가정이 되어버린 것이다. 오히려 따뜻한 가정의 분위기가 부담되고 행복한 상황이 언제 사라질지 불안해, 안전지대인 폭력의 상황으로 자신을 몰고 가며 문제 상황을 반복하게 된다.

 

프로이트는 "우리가 선택하는 사랑은 결코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사랑할 대상의 발견은 이미 결정된 이전 관계의 재발견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사랑이 완전히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이전 경험에 의한 ‘결정론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반복 강박에서 벗어나려면?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을 반복하려 하는 강박적인 충동인 반복 강박은 무의식적으로 계속되기 때문에 반복 강박의 끈을 끊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연세대학교 이동귀 교수는 반복 강박의 원인을 ‘극복’과 ‘보상’으로 설명했다. 먼저, 극복은 자신의 고통스러운 과거 경험을 비슷하게 재연해 이전과는 달리 해결하고 극복하기 위해 비슷한 사람을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보상으로는 자신이 어릴 적 결핍된 것에 대해 보상받고 싶은 마음에서 과거의 경험을 되풀이하게 된다.


결국, 과거의 경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다른 미래를 기대하기 때문에 과거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반복 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보다 ‘지금’을 바라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혹시 자신이 과거와 미래로 자신을 가두고 있지 않은지 끊임없이 점검하고, 자신이 과거의 경험을 반복하고 있지는 않은지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이제 스스로 자신의 과거 경험과 관계 패턴을 점검해보자. 만약 계속해서 비슷한 사람을 만나며 반복되는 관계 패턴에 상처받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그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려 노력해보자.


 

참고자료

• YTN 사이언스 투데이. (2020. 01. 22). [생각연구소] 당신이 매번 나쁜 남자만 만나는 이유 / YTN 사이언스 URL: https://youtu.be/r6-ccIfPUkc 

• 김보람, 유계숙 (2019). 부모와 남편의 알코올중독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가족갈등,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3), 89-103

•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반복강박’ [한겨레]. (2010). URL: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425372.html 

• 왜 우리는 맞지 않는 관계에 계속 빠져드는가? [내 삶의 심리학 mind]. (2020). URL: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20 

• 한성희. (2013).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갤리온.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1771
  • 기사등록 2021-08-13 09:31: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