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서민서 ]


호그와트

J.K. 롤링이 쓴 소설 <해리포터>는 전 세계적으로 4억 부가 넘게 팔리며 세계적인 문학작품이 되었다. 많은 사람이 <해리포터>의 마법 세계관에 빠져들었으며, 나 역시 어릴 적에 <해리포터> 시리즈의 책과 영화를 여러 번 반복해서 볼 정도로 좋아했었다. 책에 나오는 마법 주문을 이용해 친구들과 놀이를 할 정도였으니 <해리포터>가 나에게 준 영향은 실로 컸다. 사실 지금도 해리포터에 관해 글을 쓰고 있으니, 나는 아직 <해리포터> 세계관을 졸업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과연 나만 <해리포터>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까? 교보문고의 통계에 따르면 <해리포터>의 전체 독자 중 성인 독자의 비율은 약 40%라고 한다. 아동소설인 <해리포터>가 성인에게도 매력을 발휘한다는 점은 흥미롭다. 누구나 마음 한구석에 마법에 대한 믿음을 품고 사는 걸까?



‘말’이 현실을 바꿀 수 있다고?



<해리포터>에서 대부분의 마법은 주문, 다시 말해 ‘말하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해리포터>에 등장하는 마법사들은 ‘말’을 이용해서 현실을 변화시킨다. ‘말이 현실을 바꾼다’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신화의 형태로 전해져 내려오는 개념이다. 성경의 창세기에서 하나님은 ‘말씀’을 통해 천지를 창조한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는 마법의 언어를 사용하는 바빌론의 수호신 마르두크가 세상을 창조한다. 이렇듯 <해리포터>는 신화에 빈번히 등장하는 '말을 이용한 마법'이라는 주제를 문학적으로 깊이 있게 풀어냄으로써 어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 수 있었다. 

‘말’이 세상을 창조하고 현실을 바꾼다는 이야기는 허무맹랑하게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심오한 구석이 있다. 왜냐하면 한 개인이 하는 말은 그 개인이 ‘이해하는 현실’에 실제로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창세기


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현실 탐험



심리학자 에드워드 톨만은 ‘사람은 현실에 대한 인지도(cognitive map)를 만들어 세상을 이해한다’고 주장했다. 에드워드 톨만은 미로의 끝에 먹이를 놓고 미로의 입구에 생쥐를 놓은 다음, 생쥐가 미로를 통과해 먹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 그 결과 한 생쥐가 이 실험을 여러 번 반복하면 반복할수록, 생쥐가 먹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졌다. 이를 통해 생쥐는 미로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기억하며, 그 지식을 경험을 통해 수정하고 보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톨만은 이 지식을 ‘인지도’라고 정의했다. 또한 쥐가 미로를 탐험하면서 인지도를 발전시키듯이, 사람도 삶을 살아가면서 현실에 대한 인지도를 발전시키게 된다고 주장했다.


인지도(cognitive map)

하지만 굳이 모든 일을 경험해서 해답을 얻을 필요는 없다. 톨만이 말한 인지도는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해서도 수정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심리학자 조던 피터슨은 “개인의 정신건강 유지에 사회가 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조던 피터슨은 "사람은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마음의 질서를 유지한다"라고 말한다. 따라서 타인과 의사소통하며 쓰이는 모든 말은 아무리 사소할지라도 인지도, 즉 자신이 이해하는 현실지도를 수정하는 데 쓰이게 된다.


대화를 통한 피드백


자나깨나 말조심



우리나라에는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이 있다. ‘말’은 개인이 인지하는 현실을 변화시키는 마법 같은 힘이 있어서, 조심히 쓰지 않으면 화를 입게 된다는 뜻이다. 거짓이 아니라 진실을 말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거짓말은 자신이 가진 현실지도에 없는 선을 그려내고, 있는 선을 지우는 행동이다. 당장은 그런 기만이 편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위험을 불러오게 된다. 유명한 히브리어 구절로 글을 마무리하고 싶다. 아브라 카다브라! avrah kadavra 말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조던 피터슨.(2021).질서 너머.서울:웅진지식하우스

조던 피터슨.(2018).12가지 인생의 법칙.서울:메이븐

마커스 위크스.(2017).심리학.경기:아르테

대한성서공회.(2014).큰글자 굿데이 성경전서.서울:생명의말씀사

도현신.(2016).지도에서 사라진 종교들.경기:서해문집

David G. Myers,C.Nathan DeWall.(2016).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서울:시그마프레스

Tolman, E. C. (1948). Cognitive maps in rats and men. Psychological Review, 55(4), 189–208.

박기수.(2010).해리 포터, 스토리텔링 성공 전략 분석(보고서번호:10-03).서울:한국콘텐츠진흥원

[문학]'해리포터' 판타지 문학인가? 정통 문학인가?.[동아일보].(2009).

URL: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000829/7576459/1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161
  • 기사등록 2021-10-13 09:38:4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