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선안남 ]



택배로 배달된 책을 기분 좋게 받아 들었다.



설렘과 기쁨에 들떠 있었는데

받은 책의 결함을 발견하고는 기분이 상했다.

책의 몇 페이지가 접히고 붙어 있었다.

고민이 따라왔다.


교환을 요청할 것인가, 말 것인가?


접혀 있으면 펴고,

붙어 있으면 떼면 되지만

온전히 새것처럼

깨끗한 상태로는 되돌릴 수 없다.


그래도 교환은 하지 않았다.

이미 나에게 왔고,

벌써 집어 들기 시작했으니

그저 내 것으로 받아 들자 싶었다.


책을 펼치며 세어보게 되었다.

내 안의 접힌 자국과 떼어낸 흔적을,


얼굴에 남은 수두 자국

앞머리를 잘못 자른 애매한 선

머리카락이 들어간 음식

볼펜 자국이 묻은 티셔츠

올이 풀려버린 새 옷


떠나버린 사람의 빈자리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내가 살았고 살았으므로 

사랑했음을 이야기해주는

자국들 흔적들, 흉터들


어떤 경험을 통과하고 나면

그 경험은 어떤 식으로든 

우리 안에 자국을 남긴다.


우리의 시간은 

그 이 전과 그 이후로 갈리고

우리는 그 이전의 

기억이 남긴 흉터를 가진 채

그 이후의 시간을 밀고 나가게 된다.


그런 흉터들이 모여

오늘의 내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어쩌면,

오래도록 나를 괴롭혀왔던 

그 모든 흉터들은


지금의 나를 버티게 해 준

나만의 어떤 것을 이야기해주는

내 삶의 증거인지도 모른다.


세상에 쓸모없는 경험은 하나도 없다.

세상에 경험 자체로 

흉터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


접혔다 펼친 책의 자국은 이제,

받아들일까 말까를 

고민하게 했던 '흠집'이 아니라,


이 책이 '나의 책'임을 이야기해주는

내 일상의 '무늬'가 되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229
  • 기사등록 2021-10-30 12:00: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