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주선
Photo by bruce mars on Unsplash
만약 구성원이
역량 향상을 위한
철저한 노력과 실행을 하였다면
이를 어떻게 보상하고
동기화해줄 수 있을까요?
성과로 보답해주면 됩니다!
그만한 노력과 실행을 기울였다면
아마도 업무 능력이
향상되었을 것이며,
업무 성과도
나아졌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에 상응하는
성과 점수를 부여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구성원은 더욱더
자기 성장을 위해서
노력할 것입니다.
만약 구성원이
역량 향상을 위한 동기도 없으며
실제적인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까요?
성과로 보답해주면 됩니다!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계발 노력을 소홀히 한다면
당연히 상대적인 성과는
낮아질 것입니다.
연차는 올라가고
급여는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성과 향상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그에 상응하는
낮은 성과 점수를
부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성과 면담 시
왜 낮은 성과를 주었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그다음은 구성원의
선택일 뿐입니다!
새롭게 자기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 노력할지,
아니면 서운함과 반발심에
더 삐딱하게 나갈지!
부모가 자식에 대해서
본인이 생각하는 공부 방법이나
(부모 시절에나 맞았고,
부모의 성격에 적합했던)
성공 방정식을 강요해도 될까요?
자녀가 '저는 싫어요!
그건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저 나름대로의 공부 방법과
원하는 성공이 있다고요!'
라고 말하는데,
'아니야, 너의 생각은 잘못되었어!
그렇게 해서는 택도 없단다ㅠㅠ
그걸 왜 모르니 이 바보 같은 놈아!'라고
자녀를 비난해도 될까요?
이것이 바로 얼마 전
대히트를 쳤던 '스카이캐슬' 방식입니다.
자녀의 개성이나 방법을
존중하지 않고 부모의 생각이나
일방적인 요구에 따르기를
강요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보다는 '오케이 알았다!
그럼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니?
그럼 엄마와 아빠가 무엇을,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지 말해줄래?!'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
게다가 학교나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직장 내 업무 활동이나
바쁜 업무 중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업무능력 향상과 자기 계발이라면
더욱 적절한 접근 방법일 것입니다.
직장 내 괴롭힘 FAQ
1. 피드백을 괴롭힘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늘의 글 :
2.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한 업무 부여도
괴롭힘에 해당합니까?
3. 성과가 떨어지고
능력이 부족한 직원에 대하여
괴롭힘으로 받아들이지 않게
효과적으로 업무를 지시하고
점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4. 여리고 소심한 직원이
리더의 이야기를 오해하거나
확대 해석해서 상처를 입을까 봐
걱정입니다.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을까요?
5. 요즘은 리더들이 오히려
괴롭힘을 당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방과 조치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