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선안남 ]





1.



미국 드라마 <엘리 맥빌> 중 한 장면이다.


딸이 학교에서 담배를 피워서 교장실에 불려 갔다 온 엘리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그녀는 딸에게 불같이 화를 낸다.


딸도 지지 않고 화를 낸다.


딸의 방에서 나와 씩씩 거리는 엘리에게

남자 친구(본 조비가 이 연기를 한다)는

자신이 얘기를 해보겠다고 말한다.




2.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그는 엘리의 딸에게 말한다.

“카메라가 모든 공간을 다 비추어 주지 않은데

너는 카메라 앞에서 담배를 피운 것 같아.

네가 하고 싶은,

하지만 하지 못하는 말이 있었을지도 몰라."


(본 조비는 원래 멋있지만

이 장면에서 더 멋있었다.

나에게는 그의 이 모습이

어른답게 이야기하는 어른의 상징이 되었다.)


겉으로 보이는

아이의 비뚤어진 모습과 맞부딪쳐가며

서로를 튕겨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무엇을 해도

그 행동 밑의 숨은 의도를 알아봐 주려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주기 위한, 관심과 고심

그리고 다정하고도 단호하게 건네는

버팀이 되는 이야기.

이야기하라고 이야기하기보다는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판을 벌려주는 태도.

그때는 아이도 없었고

사실 내가 결혼을 하게 될지도 몰랐던 나는

나는 그 장면을 여러 번 돌려보면서

저런 엄마, 아빠가 아니라

저런 어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3.



어렸을 때 슈퍼에서 물건을 훔쳤던 적이 있다.

그때는 내가 왜 필요하지도 않은 물건

그렇게 탐나는 것도 아닌 물건을

호주머니에 넣고는

들킬까 봐 고뇌했는지

나도 나를 이해하지 못했는데


몇십 년이 흐른 후

비행청소년들의 마음을 다루는 논문을 읽고

하나의 문장에 여러 번 밑줄을 그으며

과거의 내 마음을 읽었다.


“물건을 훔치는 아이들은 사실

사랑을 훔치는 것이다.”


사랑과 관심처럼,

우리가 자주 쓰는 말일수록


그 의미에 자꾸만 달라붙는 다른 오염원들을

제거하고

다시 새롭게,

제대로 이야기해야 한다는 생각도 한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378
  • 기사등록 2021-12-30 15:27: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