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높은 확률로 성공한다고 할 때, 얼마의 노력을 기울이실 건가요?
  • 기사등록 2022-02-14 10:23:17
  • 기사수정 2022-02-15 09:04:11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황가연 ]


 


엄청난 혜택의 이벤트, 왜 참여율은 저조할까요?



당신의 SNS에서 하나의 광고를 발견했습니다. 설문조사 1분만 참여하면 최신 휴대폰 당첨!’ 


  1. 당첨 물품으로는 최신 휴대폰 1 외에도 커피 쿠폰 500영화 티켓 100개가 있습니다당신은 어떤 것을 선택하겠습니까?


  • 최신 휴대폰은 고액의 선물이자 당첨이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기분 좋은 선물임에도 80% 이상의 사람들은 커피 쿠폰, 영화 티켓과 같이 다량이 존재하는 저렴한 선물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왜 다수의 사람이 비슷한 선택을 하는 걸까요? 


  •  논문에 따르면 선택들 사이의 확률 차이가  경우 시행을 거듭할수 보상 획득 확률이 높은 쪽의 선택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특히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 3세 아동들에게도 적용되는 이야기였습니다.



확률이 높다면 투자하는 노력은?


 

  • 코로나 19 대학에서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하는 방식이 절대평가 혹은 완화된 상대평가로 변화하기도 했습니다기존의 상대평가에서는 상위 30% 학생만이 A 학점을 받을  있었다면 완화된 상대평가 혹은 절대평가에서는 최대 80% 학생들이 A 받을  있습니다.

  • 높은 학점을 받을  있는 확률이 높아졌는데이것이 실제 높은 성적으로 연결될까요? A 학점을 받을  있는 확률은 늘어났지만확률이 늘어나면서 투자하는 노력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이쯤이면 되겠지.’ 하는 생각에 오히려 노력의 양이 줄어들  있다는 것입니다이는 학점에 대한 부담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존재할  있습니다

  •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 ‘ 정도면  거야라는 막연한 생각이 낮은 학점을 가져오는 요인이   있고 이는 기존의 상대평가 방식을 다시 도입한다면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높은 확률이 높은 학점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있지만 같은 학점 간의 많은 점수 차를 가져올 우려도 존재합니다

  • 이러한 변화된 평가방식은 높은 학점을 받은 학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학점 인플레 현상을 가져오기도 했습니다높은 점수라도 같은 양의 노력을 했다고 보기 어려우며 학교들이 모두 같은 평가방식을 취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평가의 변별력은 잃어가고 있습니다

  • 이러한 평가방식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취업 시장에서는 학점은 변별력을 잃어가고 있고 이외의 다른 분야들의 스펙 경쟁이 심화하고 있습니다앞으로의 평가방식에 대한 여러 고민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나순위에 따른  세우기 학점보다는 필요한 역량들을 키우는 ‘양과 에도 초점을 맞춰보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 코로나19 잠잠해질  모르는 지금, 2022 새로운 학기의 수업 방식에 대한 입장도 갈리고 있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코로나 19로부터 안전하게 수업하는 것이지만 보다 공정하고 변별력 있는 평가방식이 도입되는 것도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이전기사

어른이 된다는 것은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885
  • 기사등록 2022-02-14 10:23:17
  • 수정 2022-02-15 09:04:1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