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이다인 ]



운동선수들의 강인한 정신력



올림픽, 월드컵, 세계선수권대회 등 운동선수들은 수많은 경기에 나가 자신의 기량을 뽐낸다. 이러한 대회들은 선수들이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평가받는 자리이기 때문에 선수들은 엄청난 부담감을 느끼고 경기에 임할 수밖에 없다. 수많은 관중과 경쟁자들은 선수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는데 많은 심리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심리적인(자신감, 정신력, 몰입, 집중력, 심리적 위축 등)이 승/패 또는 결과에 영향을 준 사례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 참가한 김연아 선수는 당시 자신의 라이벌이었던 일본의 아사다 마오 선수 바로 다음 순서로 출전하게 되었다. 아사다 마오가 완벽에 가까운 훌륭한 연기를 펼쳤고 점수가 공개된 직후, 김연아 선수는 바로 연기를 펼쳤어야 했다. 그러나 그녀는 뛰어난 스케이팅 실력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놀라운 연기를 펼쳤으며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스포츠심리학이란



이처럼 뛰어난 운동선수들은 신체적인 재능을 노력으로 갈고닦았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심리적인 특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스포츠 경기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인 요인들에 다루는 분야를 ‘스포츠심리학(Sport Psychology)’이라고 한다.

 

스포츠 심리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심리기술을 개발하고, 측정 방법을 연구하며 심리 기술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서 심리기술이란 ‘감정과 생각을 조절해 경기 상황에서 겪는 여러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기량을 극대화하는데 필요한 정신적 전략, 기법’이다. 즉, 선수들은 심리기술 훈련을 받으며 자신의 심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최상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신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발휘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고 유지하는 능력’인 ‘정신력’은 단순히 유전적으로 전달받거나 의지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스포츠 심리학에 기반한 여러 심리 훈련들이 중요한 이유이다.



스포츠심리 상담, 꼭 필요한 걸까



운동선수의 삶은 밀도가 유명한 수영 선수 박태환 역시 2012년 런던 올림픽 400m 자유형 예선에서 실격 판정을 받아 많은 심리적인 문제를 겪었다. 그러나 조수경 스포츠심리연구소 소장은 스포츠심리 상담을 통해 그가 감정에 휩쓸려 무너지지 않도록 도왔다. 


과거에 비해 많은 선수들은 스포츠심리 상담을 받길 원한다. 국가대표 선수들은 긍정적인 사고, 이미지 트레이닝, 집중, 불안 조절, 스트레스 관리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정신을 관리한다. 선수 스스로 연구하고 방법을 찾기도 하지만 중요한 경기를 앞둔 선수들은 대부분 그 기간 스포츠심리 상담을 받는다.


운동선수의 삶은 일반인들의 삶과 달리 밀도가 높고, 드라마틱 하다. 어린 나이에 몇 치의 압축된 경험을 한다. 대게 몇 년 동안 연습한 결과가 단지 몇 분 만에 끝나는 것이다. 이를 이겨내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특정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선수만이 상담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스포츠심리 상담을 통해 선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능력을 키우고, 단점을 딛고 도약하도록 돕는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는 5명의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에게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해당 프로그램이 선수들의 연기력 향상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선수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불안감이 감소했고 자신감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앞서 말했던 김연아 선수 역시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당시 경기를 두고“(다른 선수들과의)심리적 싸움에서 이긴 것 같다”라고 털어놓았다. 그뿐만 아니라 자전 에세이 ‘김연아의 7분 드라마’에서는 “스포츠심리학을 공부해 보고 싶다”고도 하였다. 이처럼 스포츠심리학은 스포츠 분야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하는 만큼, 운동선수들의 훌륭한 모습 뒤의 든든한 조력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기사

우리가 게임에 몰두하게 되는 이유 1

운동선수가 채식주의자일 수 있을까?

우리가 게임에 몰두하게 되는 이유 2




[참고자료]

김현정, 한영희.(2013).마음을 훈련하는 스포츠심리학자 조수경_행복을 향해 달리다.월간 샘터,(),14-16.

유진, 허정훈. (2004). 국가대표 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3), 27-52.

윤영길.(2014).스포츠 중심의 스포츠심리학, 멘탈코칭.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25(1),129-14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Orte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1258

정성우, 이주형. (2013). 2012년 런던올림픽 국가대표 남자체조선수 심리기술훈련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4(3), 129-144.

정청희.(2006).스포츠 심리학이란.스트레스연구,14(4),325-335.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2986
  • 기사등록 2022-03-08 07:11: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