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신선경 ]


" 우리 애가 요즘 달라졌어요. 화도 많이 내고, 매일 누워서 텔레비전만 보고.. 심지어 온라인 쇼핑에 중독이 된건지 100만원을 썼더라구요. 그러면 안된다 했더니, 엄마가 뭔데 신경쓰냐고 꺼지라고..  나중에 콱 죽어버릴테니 신경이나 쓰지 말라더라구요.. 도대체 .. 제가 뭘 잘못해서 애가 이렇게 된걸까요? 사춘기가 원래 이렇게 심하게 오는 건지.." 



급격한 기분변화, 무기력한 텔레비전 중독, 폭언, 자살에 대한 언급, 
이 친구는 도대체 어떤 현상을 겪고 있는 것일까? 단순한 사춘기라고 볼 수 있을까? 



사춘기란? 


청소년기는 호르몬의 변화의 뇌의 발달 등으로 인해 자의식과 독립심이 강해지기 때문에 소위 '사춘기' 또는 '중2병'이라고 불리며 쉬이 어른들과 논쟁을 벌인다. 또한 감정 변화가 극심해져 짜증이나 우울감, 화남의 현상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뇌가 그동안 수집한 정보들 중 필요한 정보와 필요 없는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사춘기는 '병'적인 문제도 아니고 '우려'하지 않아도 되며 당연한 생리적 현상이다. 그런데 위의 사례에서 보았던 친구의 문제는 단순히 사춘기로 보기에는 우려스러운 부분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현상의 일종으로 볼 수 있을까? 




청소년 우울증 


 청소년기 우울증은 반드시 우울한 기분으로 나타나지 않고, 긍정적인 상태에서는 일상적인 생활도 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겉보기에는 사춘기와 비슷해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쉽게 간과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현상을 보일 때 우리는 청소년 우울증이라고 할 수 있을까?


청소년 우울증의 현상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얻게 되면 기분이 크게 변덕하며 분노 반응이 심해져 자신의 영역을 침범한 사람에게 "나가! 꺼져! 꼴 보기도 싫어!"와 같은 말을 쉬이 내 뱉기도 한다. 또 폭식이나 과도한 수면을 취하거나, 무기력한 형태로 누워 휴대폰, 텔레비전과 같이 자신이 집중할 수 있는 매체 하나에 집중하느라 중독과 같은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자존감이 낮아지고, 집중력 장애로 인해 학교 성적이 저하되거나, 의학적 이유 없이 여기 저기 아프다고 호소하는 심리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자해를 하거나 자살을 하겠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청소년 우울증의 발생 원인 


이러한 청소년 우울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아이에게 우울감을 느끼게 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그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케이스마다 다르겠지만, 부모의 관심 부재, 또는 부모의 과도한 집착과 간섭, 학업에 대한 과중한 스트레스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했듯, 단순히 이러한 원인 하나에 해당한다고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의 환경에 따라 그 발생 유무와 정도가 달라진다. 



사춘기와 청소년 우울증 감별 방법 


하지만 청소년 우울증인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상태에 있을 때는 일상과 동일하게 행동하고, 단순히 우울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감정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성인 우울증과 달리 방치하기 쉽다. 심지어는 그 우울증을 겪고 있는 청소년 마저 자신이 사춘기라 생각하는 등 우울증의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자신을 학대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청소년 우울증과 사춘기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사춘기는 기분의 동요가 다소 심해지는 것은 사실이나, 극심한 기분변화와 분노, 수면과 식욕 사이클의 변화, 일상생활에서 흥미상실, 자해, 자살에 대한 언급 등이 나타나는 경우 청소년 우울증의 가능성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청소년 우울증은 일반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본인이 나약해서 나타난 것도 아니고, 단순히 혼자서 의지를 가지고 극복할 수 있는 일시적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가족의 적극적인 돌봄과 더불어 병원의 검사와 치료가 꼭 필요하다. 그리고 청소년 우울증의 대부분은 약물치료와 상담치료를 통해 쉽게 치료될 수 있으니 망설이지 말것을 권유한다.





지난기사

우리에게 너무나 매혹적인, '성공한' 사이코패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3727
  • 기사등록 2022-06-07 06:41: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