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학에 합격하면 더 이상 불안하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 내가 두려운 이유 - 두려움 방어하기
  • 기사등록 2022-06-16 00:29:58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조민경 ]


pixabay.com/ko/

고등학교 시절, 내가 가장 많이 했던 말은 ‘대학 가기만 하면, 난 무엇이든 다 할 수 있어’이다. 화자를 바꾸어 ‘대학만 합격하면 하고 싶은 거 다 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2021년 고등학교에서의 상급학교 진학률, 즉 대학 진학률은 70%에 이르렀다. 그 수치는 해마다 증가세에 있다. 이렇게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들에게 대학은 어떤 의미일까? 그들에게 대학은 정말 전부일까?


나의 고등학교 시절, 나는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망칠까 두려웠고, 그러다가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할까 봐 두려웠으며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면 미래가 없을까 봐 두려웠다. 2020년 11월 통계청이 발표한 ‘청소년이 고민하는 문제’에 따르면, 고등학교 재학생의 경우 약 52%가 성적, 적성 등의 ‘공부’를 1위로 뽑았다. 이렇듯, 지금 우리나라의 고등학생이라면 공부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으며 공부의 목표는 ‘대학 진학’만을 향해 가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대학에 입학한 나는 왜 여전히 불안 속에 살고 있을까? 그토록 원하던 대학 진학을 하고 난 이후, 4년이 흘렀는데도 나는 무엇을 쫓길래 여전히 앞으로의 미래가 두려운 걸까?



 <내가 두려운 이유>


인간의 궁극적 삶의 목적은 행복이다.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행복하고자 하며 다양한 욕구를 지니고 있다.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에서는 자아실현의 욕구가 가장 최고 실현의 욕구로 설명된다. 생리, 안전, 소속과 애정, 존경욕구 네 가지가 충족된 이후 마지막 단계의 욕구가 자아실현의 욕구인 것이다. ‘나는 자아실현을 하였는가?’ 이러한 질문 던진다면 과연 누가 ‘자아실현의 상태이다.’라고 대답할 것인가?


사람들은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고, 어떠한 부분에서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대학생은 이러한 자기실현으로 나아가는 데에 중요한 갈림길에 서있는, 성인이지만 청소년인, 그런 존재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성취하고자 하는 것이 많기에,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기에 우리는 아직 젊기에 모든 것이 두려운 것이다.

 


<두려움을 방어하기>


밀려오는 불안감. 사람들은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부정, 투사, 합리화, 승화 등이 그 예시이다. 두려움과 불안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고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사용하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쉽지 않다. 이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방어기제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첫째로 ‘부정’은 불안이 일어나는 상황을 마주하지 않는 것, 믿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또한 ‘투사’는 자신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특성을 타인에게 돌리는 것이다. 그러나 투사는 당신의 부정적 감정을 인식하게 하지 못해 불안을 줄여줄 수는 있겠지만, 그 감정은 떠나지 않는다.


수용될 수 없는 이유로 이미 저지른 행동에 대하여 스스로 논리적 설명을 찾는 것은 ‘합리화’이며 위협적 상황, 당신을 불안하게 만드는 상황에서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승화’는 자신의 충동을 수용될 수 있을만한 형태로 전환해 표현하는 것인데, 프로이트는 이 방어기제가 다른 방어기제보다 성숙된 것이라고 본다.


앞에서 살펴본 방어기제들은 우리가 한 번쯤 사용해 본 것들일 것이다. 

우리는, 그리고 대학생은 앞으로 나아갈 힘이 있다. 그 길이 어딜 향하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에 두려운 것이 당연할 것이다. 앞서 말한 방어기제로 당신의 불안을 잠시나마 해소할 수 있다면 다행일 것이다. 그러나 미래에 대한 나의, 우리의 불안은 우리의 가능성에서부터 오는 것임을 알고 이 불안에 맞서보는 것은 어떨까?




지난 기사

우리아이 ADHD, 어른이 되어서도 문제가 될까요?

어린아이는 엄마 뱃속에서의 일을 기억하나요?




 

참고문헌

Charles S. Carver · Michael F. Scheier.(2005).성격심리학. 출판지:학지사.

이미리·김춘경·여종일.(2019).청소년 심리 및 상담. 출판지:학지사

김정래. (2014). 교육목적으로서 “자기실현”의 재음미 : 매슬로우의 이론을 단초로 한 논의. 교육철학. 36권,2호 49p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3805
  • 기사등록 2022-06-16 00:29: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