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윤정
[The Psychology Times=배윤정 ]
지난 동계 교육연수에 이어 상담 및 심리치료의 핵심 개념이자 다양한 정신병리의 근원으로 알려진 ‘애착 트라우마’에 대한 다각적 이해와 치료 방안 강구를 위해 본 하계 교육연수에는 ‘감각운동 심리치료’와 ‘정신화 기반 상담’ 을 마련하였습니다. 학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본 연수도 COVID-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1. 주제 : 애착 트라우마 상담의 실제
2. 세부 프로그램
7월 1일 (금) | 7월 2일 (토) | |
9:55 ~10:00 | 학회장 인사 | 애착트라우마 상담의 실제(2) : 정신화 기반 상담 강사 : 김진숙 교수 |
10:00 ~13:00 | 애착트라우마 상담의 실제(1) : 감각운동 심리치료 1차시 : 감각운동 심리치료의 정의와 6가지 철학 원리 2차시 : 기본 개념과 기술(1) - 현재 순간 마음챙김하기/ 지시적 마음챙김과 신경가소성 3차시 : 기본 개념과 기술(2) - 삼위일체의 뇌와 정보 처리/신경지각과 수용의 창 4차시 : 단계별 치료과정 - 치료 3단계와 회기별 치료과정 5차시 : 치료 1단계(자원 계발하기) 치료 2단계(기억 다루기) 6차시 : 치료 3단계(성격통합) 및 질의 응답 강사 : 이승호 | |
14:30 ~17:30 | ||
강의 소개 | 본 교육연수는 Pat Ogden의 <감각운동 심리치료(이승호 역, 하나의학사, 2021)> 기본 개념과 기술을 배우고 실습으로 체화(embodiment)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감각운동 심리치료(Sensorimotor Psychotherapy)는 소매틱(somatic) 심리학을 토대로 대인관계 신경생물학, 신경과학, 애착 연구 성과를 통합한 ‘몸 지향 대화 치료(body-oriented talking therapy)’로, 감각운동(신체감각, 움직임, 오감지각)에 초점을 두고 트라우마와 애착 문제로 발생하는 내담자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다룹니다. | 정신화(mentalization)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 즉 감정, 생각, 욕구, 동기, 의도, 신념, 태도 등과 내면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알아차리고 헤아리는 과정을 뜻합니다. 정신화를 통해 우리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행동을 납득할 수 있고, 내면의 반응을 자각하고 다른 사람에게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애착 트라우마는 이러한 정신화 능력의 발달을 저해합니다. 따라서 애착 트라우마를 겪은 내담자들 중에는 정신화 능력에서 큰 변동성을 보이거나 전반적인 결손을 보이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내적 반응과 경험을 제대로 이해하고 조절하지 못하기에 상대방에게 전달하기도 어렵습니다. 특히 감정적으로 흥분된 상태이거나 애착욕구가 촉발된 경우 특히 취약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감정과 경험을 알아차리고 이해하는 능력도 손상되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 결과 근래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 내담자들에게서 자주 볼 수 있듯이, 자해나 다른 자기파괴적인 행동에 의존하게 됩니다. 이번 교육연수에서는 실제 상담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축어록과 사례 중심으로 정신화 기반 상담의 기본 원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애착 트라우마가 있는 경계선 성격장애 내담자뿐만 아니라 자해 등 자기파괴적 행동이나 타인을 향한 공격적 행동을 하거나 자기이해, 타인과의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과 성인 내담자들의 정신화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담자가 어떤 식으로 반응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
3. 일시 : 2022년 7월 1일 (금) ~ 7월 2일 (토) 10:00 ~ 17:30 (온라인 생중계 진행)
4. 대상 : 본 학회 준회원 이상, 각 일자별 1,500명
※ 일자별 신청 가능하며, 2일 프로그램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 교육연수 1일 참가 시 당해 연도 심포지엄 참석 1회(양일 참가 시 2회)로 인정됩니다.
5. 참가비 : 각 일자별 30,000원 (2일 모두 참가 시 60,000원)
※ 사전신청 등 세부 사항은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한국상담심리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 https://krcpa.or.kr/user/intro.asp
출처 : 한국상담심리학회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byjp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