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주선 ]



방어기제란 무엇일까? 방어기제란 쉽게 말하면 ‘불안을 느낄 때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인지‘라고 볼 수 있다. 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정의되었다. 인간에게는 3가지의 자아가 있는데, 사회, 도덕적 규범에 따르는 초자아와 인간의 1차원적인 욕구인 원초아, 그리고 둘 사이를 조정하는 자아가 있다. 방어기제는 자아가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를 조정하며 나타나는 불안감에서 벗어나지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방어기제이다.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과도한 방어기제는 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프로이트는 말했다. 

 


방어기제 종류와 특징


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심리학자들마다 여러 의견이 있다. 프로이트는 10개, 베일런트는 18개 등 방어기제의 종류는 다양하며 한 심리학자는 30개 정도의 방어기제가 있다고 말하였다. 이 중 몇 가지 대표적인 방어기제에 대해 알아보자.


1. 부정

-절대 아니야...!!

불안감을 줄이고자 명백한 사실을 외면, 거부하며 차단

 

2. 투사

-내 잘못은 너 때문이야

불안감을 덜기 위하여 남 탓을 하는 것

 

3. 유머

-코미디

어떠한 상황에서 괴롭거나 불편한 기분을 누그러뜨리려 웃음과 농담, 풍자와 아이러니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감정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행동화, 억압, 억제, 투사 등의 많은 방어기제가 있다.

 


mbti와 방어기제



요즘 한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MBTI는 사람의 성격을 16가지의 유형으로 나눈 것이다. 위의 사진에서 보다시피, 외향형과 내향형(=E와 I), 감각형과 직관형(=S와 N), 사고형과 감정형(=T와 F), 판단형과 인식형(=J와 P)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방어기제를 MBTI에 적용하면 어떻게 될까?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 방어기제 사용상의 차이 연구 논문 중 일부를 발췌하였다.


"내향형은 외향형에 비해 미성숙, 자기 억제,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외향형(E)은 내향형(I)에 비해 적응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직관형(N)은 감각형(S)에 비해

적응적 방어유형과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사고형(T)은 감정형(F)에 비해 갈등 회피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인식형(P)은 판단형(J)에 비해 미성숙한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당신의 방어기제는 무엇인가?


이처럼 방어기제는 사람이 살아가는 것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방어기제를 잘 알면 나를 잘 알 수 있다는 말같이 본인에 대해 더 잘 알고 싶을 때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은 어떨까당신의 방어기제는 무엇인가?

 

 


지난기사

당신의 감정에는 이유가 있다.

왜 우리는 빙하보다 손에서 녹는 아이스크림이 더 중요할까





출처

매릴린 케이건 (2021). 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 전나무숲

최원아.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방어기제 사용상의 차이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충청북도

정신의학신문 [Website]. (2018).URL: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890

방어 기제 [defense mechanism] [네이버] (심리학용어사전, 2014. 4.).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08&cid=41991&categoryId=4199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3826
  • 기사등록 2022-06-23 07:10: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