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sychology Times=박진형 ]

- 최근 한국 사회의 가장 큰 개선점이 요구되는 점은 저출산 현상이다. 물론 대다수 국가가 선진화되면서 출산율이 줄어든다. 물론 한국 사회의 심각한 저출산은 다소 예외적이다.
다만, 저출산 현상으로 가구당 출생 인원이 줄어들면서 대다수 부모가 이전 세대보다 더욱 각별하게 아이를 양육한다. 점차 아이들은 더욱 사랑받고 사랑받아야 마땅한 존재로 성장한다.
아이를 가진 젊은 부모들은 어떻게 아이를 양육할 것인지 고민하는 시대가 찾아왔다. 우리의 귀한 자녀를 어떻게 양육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해야 더욱 행복한 아이가 될 것인가.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존재, 부모
인간의 대다수는 탄생 직후 부모를 가장 먼저 만난다. 사회화 단계 이전에 가장 기초적인 행동 양식은 부모에게서 기인한다. 부모의 존재는 어린아이에게는 굉장히 거대하며 동시에 가장 중요하다.
이제 더 이상 부모의 체벌도 법으로 허용되지 않는 세상이 찾아왔다. 그만큼 아이들의 행복은 사회적으로 관심을 요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부모의 양육은 이후 자녀의 생애 전반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아이들은 부모의 사랑과 애정, 관심을 먹고 자란다. 그러나, 직접적인 표현 없이 단순히 아이가 부모의 사랑을 느끼는 것은 쉽지 않다. 어른에게도 어려운 대인관계를 아이가 스스로 느낄 것이라는 생각은 지나친 욕심이니까.
그렇다면 우리 아이를 행복한 존재로 만들기 위해 부모는 어떻게 아이를 양육해야 하는가.
행복한 아이 만들기
행복한 아이를 양육하기 전에 먼저 행복한 부모인지 질문해보자. 부모의 존재는 아이에게 전부일지 모른다. 부모는 아이의 중요한 역할 모델이며 그 감정은 전달된다.
행복하지 않은 부모라면 내 아이를 위해서라도 행복해지자. 행복의 방법을 찾아보자. 그것이 아니라면 아이와 함께하며 느껴지는 행복을 최대한 끌어내자.
행복한 부모가 더 행복한 아이를 만든다.
두 번째, 아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모든 아이는 아직 성숙하지 않다. 부모의 인정은 아이의 일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아이를 수용하고 받아들이자.
아이에 그 자체에 대한 일관적인 수용은 아이를 더욱 자존감 높고 행복한 아이로 만들어준다. 어른에게도 인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물며 아이들에게 인정은 그 이상의 힘이 되어 일생을 지탱할 것이다.
셋째, 아이 스스로 할 수 있게 돕기. 아이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동력은 성취감이다. 과잉보호는 아이의 일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의 자립심을 무너뜨릴 수 있다.
어린 시절부터 작은 것을 성취하며 아이는 추후 더 큰 성취를 가져온다. 성취의 힘은 단순히 순간의 기쁨이 아니라 미래에 도전에 대한 큰 양분이 된다.
넷째, 아이에게 감정에 대한 적절한 표현을 지도하기. 감정은 인간의 정신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감정적 표현은 장애가 되지만 감정에 대한 적절한 표현은 도움이 된다.
아이가 부정적 감정의 표현을 할 수 없도록 막는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부정적인 감정이라도 그것에 대해 적절히 표현할 때 아이는 더욱 행복한 존재가 된다.
다섯째, 아이를 칭찬하기. 사소한 것이라도 좋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아이의 성취 과정에서 칭찬이 더해진다면 금상첨화 아니겠는가.
아이들은 칭찬과 인정을 받고 성장한다. 행복한 아이를 위해서 칭찬을 아끼지 말자. 대업의 성취도 작은 성취부터 시작된다. 내 아이의 행복을 위해 칭찬을 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
무엇보다 강조할 것은 사랑이다. 부모는 아이를 사랑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그것을 마음속에 감춰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표현하자. 사랑받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모든 인간에게 특별하지 않은가.
사랑받는 아이가 사랑할 수 있는 어른으로 성장한다. 사랑은 인간에게 부여된 축복이 아닌가. 그 시작은 부모의 사랑으로부터 시작하고 그렇기에 부모는 더욱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사랑하자.
사소한 것일지라도 한 번은 포옹과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가 아이의 미래를 크게 바꿀지 모른다. 당신의 마음속에 사랑이 있다면 내 아이에게 아끼지 말고 표현하자.
- 지난기사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음악이 남긴 추억에 대하여
비뚤어진 애국심
모든 관계에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문용린. (2012). 행복을 부르는 묘약, 칭찬. 월간 샘터. 11월호통권(513). 84-85.
김영화 원장의 멘탈육아;내 아이를 행복한 아이로 만드는 비법 [BabyTimes]. (2021). [URL] : http://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562.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가 행복하다 [원더풀마인드]. (2022). [URL] : https://wonderfulmind.co.kr/assertive-children-are-happy-children/.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