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주선 ]



요즘 대한민국에서는 MBTI (개인의 성격을 16가지로 나눈 성격유형지표)가 핫하다. 자기소개할 때,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신의 성향을 단 4개의 알파벳으로 표현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MBTI는 일상에서 어느덧 필수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인터넷에 떠도는 MBTI 검사 말고, 정식으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리고 mbti같은 다른 심리검사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심리검사의 정의와 종류


다음은 네이버 지식백과에서의 심리 검사에 대한 정의이다. “심리 검사란 한 개인의 지능, 성격 등을 측정하여 그 사람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수검자에게 수행하는 일련의 심리학적 측정 절차로, 이를 통해 정신 병리나 개인차를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심리검사를 몇 가지 알아보도록 하자. 보편적이다는 기준은 대학의 심리상담센터에서 진행되는 검사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1. MBTI 검사

현재 가장 대중화된 검사이며 자기보고(self report)를 통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특성을 파악해보는 검사이다. 95문항으로 구성되어 4가지의 성격유형지표를 통하여 각 개인의 선호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다면적 인성검사(MMPI)

다면적 인성검사는 정신과적 진단분류를 위한 것이며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심리, 정신 치료에 기여하기 위한 검사이다.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도 쓰인다. 총 550개의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16문항이 중복되어 총 56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신건강을 진단하는 평가 검사이다.

 

3. STRONG 직업흥미검사

개인의 흥미에 따라 각자에게 어떤 진로가 적합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검사이다. 다양한 분야의 목록으로 각 문항에 대한 개인의 흥미도 또는 흥미 유무를 묻는다.

 

4. 인터넷 심리테스트



요즘엔 인터넷이 발달하고, 간단한 재미로 하는 심리테스트들이 인터넷에 많이 있다. 이는 정식적인 심리검사가 아니다. 대표적인 심리테스트의 예시로 “포레스트 심리테스트”가 있다. 이는 회사의 마케팅 목적으로 제작된 심리테스트이며 당시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왔으며 인스타 스토리 등에서 핫하게 나타났던 심리테스트이다.



바넘효과



바넘 효과는 쉽게 이야기하면 사람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성격적 특성을 자신과 일치한다고 믿으려 하는 형상이며, 성격에 대한 일반적인 묘사와 자신의 성격이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는 심리학자 버트럼 포러(Bertram Forer)가 성격 진단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혈액형이나 MBTI 검사를 하면 모두 자신에게 들어맞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바넘 효과는 마케팅에서도 활용된다.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문구로 소비자에게 공감을 사, 마치 잘 알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만들어 소비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결론



흥미 위주의 심리테스트나 심리검사는 나 자신을 알아가고, 타인을 알아가는데 훌륭한 수단이다. 그러나 유행을 따라 그것을 맹신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며, 사람이 심리테스트 결과에 맞추어 행동하는 ‘자기충족적 예언’이 될 수 있기에 그 결과를 맹신하면 안 된다. 최근 MBTI가 유행하며 MZ세대 사이에서는 MBTI를 맹신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한다. 이는 건강하지 않으며 이분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으며 성격도 다채롭다. 그러니 결과를 너무 맹신하지 않고, 흥미 위주로 알아가는 것이 좋다.





지난 기사

당신의 감정에는 이유가 있다.

왜 우리는 빙하보다 손에서 녹는 아이스크림이 더 중요할까

방어기제를 알면 나를 더 잘 알 수 있다?

길고 길었던 코로나, 당신의 정신건강은 안녕하신가요? (코로나 블루)

아 진짜 알았는데 기억이 안나. 기억의 저장과 왜곡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 검사 [psychological tests]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공학대학교 학생상담센터 [Website] URL: https://counsel.tukorea.ac.kr/counsel/2837/subview.do

인하대학교 상담센터 [Website] URL: https://studlife.inha.ac.kr/studlife/10463/subview.do

Tstory [Website] URL: https://momo-24.com/815

[알쏭달쏭 심리학] '시끄러운데 왜 이렇게 잘 들어?', 문화뉴스 [Website] (2022) URL: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359

한국 MZ세대의 'MBTI 맹신'…CNN "과몰입 우려스러워" , MBN뉴스 [Website] (2022) URL: https://www.mbn.co.kr/news/culture/4810010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196
  • 기사등록 2022-08-07 13:14: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