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속 우영우는 천재 자폐아? -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 실존하는 우영우, 헤일리 모스
  • 기사등록 2022-08-12 16:18:33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조민경 ]


출처: pixabay


요즘 떠오르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속 우영우 역의 주인공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를 가진 인물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와는 어딘가 달라 보인다. 그녀는 학창 시절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았으며 ‘변호사’라는 전문성 있는 직업을 가질 만큼 똑똑해 보인다. 특히 어린 시절, 아버지가 읽으시던 법학 서적을 통째로 암기하는 모습 또한 보여주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자폐아는 어떠한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자폐아는 지능과 암기력이 현저히 떨어지며 사회에서 사람들과 어울려 생활하는 데에 전반적으로 큰 어려움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극 중 한 장면에서 ‘우영우’가 본인보다 심한 정도의 자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마주한다. 이때 그녀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말 그대로 스펙트럼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심각도, 정도가 천차 만별이다.’ 라고 말한다. 그 ‘스펙트럼’이라는 것이 무엇이길래 같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이토록 지능수준이나 적응수준이 차이가 나 보이게 되는 걸까?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자폐스펙트럼이란, 반복적 행동을 하고, 제한된 관심사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교류에 어려움을 겪는 정신질환을 이야기한다. 그 주요 증상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이 적고, 의미 없는 반복적 행동, 상동적 행동을 보이기도 하며 일반적이지 않은 주제에 대하여 제한적이고 고정된 관심을 갖는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같은 자폐를 가지고 있더라도 의사소통 수준, 사회적 상호작용 수준, 그리고 반복적·상동적 행동 등의 영향에 따라 그 증상과 정도가 모두 다르며 이가 위에서 우영우가 말한 ‘스펙트럼’에 대한 것이다.

자폐스펙트럼은 전체 인구의 1%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남성의 경우 여자보다 4배 높은 유병률을 가지고 있다.

 


<실존하는 우영우, 헤일리 모스>

실제로 자폐를 가지고 있어도 변호사를 할 수 있을까?

그 답은 ‘그렇다’이다. 실제로 미국에 ‘헤일리 모스’라는 사람이 그렇다. 그녀도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에서 변호사이자 장애인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우영우가 책을 사진기로 찍듯 외우는 것처럼, 그녀도 암기 능력이 뛰어나 대학 시절 연극부에 들어가 연극 대본을 하루 만에 다 외우기도 했다고 한다. 그녀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자신이 잘하는 것도 있지만, 못 하는 것도 있으며, 잘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도 여전히 색안경을 끼고 자신과 같은 자폐를 바라보는 이들이 많다. 많은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였으면 좋겠다.’ 라고 말이다.

 

우리는 일상에서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사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 것이다. TV 속 ‘우영우’와 같이 뛰어난 두뇌를 가지고 있는 자폐아부터 혼자서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가지는 중증 자폐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사람까지. 그들 모두, 우리 모두 잘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며 잘하고 좋아하는 것이 있다. 우리가 색안경을 벗어 던진다면, 두뇌가 명석하고, 귀가 발달하여 놀라운 수준의 절대음감을 가지고, 의학지식을 박식하게 알고 있는 많은 뛰어난 자폐를 가진 사람들을 더 많이 볼 수 있지 않을까?





지난 기사

우리아이 ADHD, 어른이 되어서도 문제가 될까요?

어린아이는 엄마 뱃속에서의 일을 기억하나요?

대학에 합격하면 더 이상 불안하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전 어떤 선택을 해야할까요?

내 아이가 원하는 것, 다 해주고 싶어요

저의 가면이 나쁜건가요?







출처:조은숙, 이윤경. (2006).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낱말재인 및 읽기이해 특성. CommunicationSciences and Disorders, 11(3), 208-218. 

윤송이, 황민아 and 임종아. (2018).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전제 의미 추론. 특수교육논총, 34(2), 239-250. 

이승희. (2014). DSM-5의 자폐스펙트럼 장애에 관한 10문 10답. 정서·행동장애연구, 30(3), 1-3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262
  • 기사등록 2022-08-12 16:18: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