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편지희 ]


당신은 지금 행복한가요?


우리는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살아간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이자 삶의 가치는 행복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과거 시점의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적 성장을 이룬 시점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고도로 발달한 사회 속, 우리의 행복 수준도 그러할까?


한국의 행복감 수준은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해 최하위권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SDSN(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의 '2022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19∼2021년 평균 국가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5.935점이었다.


이러한 행복에 대한 논의는 개인의 심리와 경제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관계’로 이동하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노출되고, 관계와 더불어 살아간다. 행복 역시 이러한 사회적 관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신뢰


당신의 행복 수준이 ‘사회적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면 어떠한가?


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 ‘한눈에 보는 사회상(Society at a Glance)’에 따르면, 한국은 다른 사람과 공적 기구에 대한 신뢰 지수가 매우 낮은 나라로 분류되었다. ‘타인을 믿을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바탕으로 나온 우리나라는 26%의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치인 36%보다 10%포인트나 낮은 값이다.


그러나 덴마크는 타인에 대한 신뢰도가 무려 75%에 이른다. 덴마크를 비롯해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 신뢰도가 상위권 국가들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삶의 질, 즉 행복지수 또한 높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 신뢰와 행복이 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연 사회적 신뢰는 개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신뢰가 자본이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


사람들이 붐비는 길 한복판, 한 행인이 다급한 표정으로 당신에게 다가온다. 말끔히 차려입은 행인은 지갑을 잃어버렸다며 만 원을 빌려달라고 말한다. 당신이라면 선뜻 지갑을 열어 만 원을 빌려줄 것인가 혹은 거절하겠는가?


여기서 우리가 처음 보는 사람에게 만 원을 빌려주는 행동은 ‘신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신뢰는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란, 쉽게 말해 ‘한 사회가 신뢰하고 소통하여 협력하는 역량’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자마다 정의가 다양하지만 사회적 자본의 속성에는 공통으로 ‘사회적 신뢰, 상호 협력과 협동을 촉진하는 연결망’ 등이 포함된다.


그렇다면 사회적 자본은 무엇으로 이루어질까? 간단한 상황을 상상해보자. 당신은 다급한 경우에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게 되었다. 그렇다면 다음번에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을 만나게 될 때, 그 사람을 돕고자 하는 동기가 생기게 될 것이다. 이 사례에서 우리는 도움의 연쇄반응을 통해 사회의 신뢰가 높아지면서 사회적 자본이 축적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요인은 신뢰 이외에도 주변 환경 안정성, 참여 정도 등이 있다.



'사회적 자본'과 행복의 관계


사회적 자본은 우리의 행복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학자들은 우리 주변에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가족, 이웃, 공동체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이 행복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특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자본의 모든 요인들(일반인/집단에 대한 신뢰, 관계에 대한 중요도, 모임에 대한 참여도, 주변 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개인의 행복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여러 집단 신뢰’였다. 이처럼 우리는 행복 향상을 위하여 타인과의 신뢰 관계, 교류와 소통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행복한 나를 만드는 방법, '사회적 자본' 형성


행복을 노력으로 얻을 수 있을까? 대개 행복은 외부적인 환경, 선천적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사회적 자본을 이용해 충분히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은 우리 개인의 노력과 행동의 변화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자본을 획득해 궁극적으로 행복해지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관련 연구에서는 주변 사람 및 여러 사회 집단에 대한 신뢰 향상, 다양한 사회 모임 참여, 인생의 가치관 변화 등과 같이 사회적 자본을 얻는 것을 그 방법으로 제시한다. 우리는 의식적으로 노력해서 사회적 자본을 얻고, 궁극적으로 행복해질 수 있다.



행복한 사회를 위한 국가 역할, ‘사회적 자본’ 확충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개인의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서도 사회적 자본을 높일 수 있지만, 사회적 자본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가적 역할이 특히나 중요하다. 과거에 비교해 우리나라는 분명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팽배한 갈등 수준, 낮은 행복도를 보이고 있다. 개인주의, 각자도생 사회로 불리는 우리 사회가 행복한 사회로 나아가는 데 있어,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그저 단순한 경제적 성장만으로는 뿌리 깊게 존재하는 사회 문제들을 본질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이제는 무형 자산인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의식을 높여, 상생하고 더불어 가는 사회를 만들어 나갈 때이다.





지난 기사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1)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2)

내 안의 자기 불일치, 헤쳐 나갈 수 있다

완벽주의와 '나'

정신건강과 신체 건강, 어떤 관계에 있을까?

장애라는 '다름', 특별함이 되지 않게




출처

정은진, 이재덕. (2018). 개인의 행복 여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요인 탐색. 역량개발학습연구. Vol. 13, No. 1, 27-45.

정은진, 이재덕, 정향윤. (2017). 사회적 자본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긍정적 자아관을 매개로. 정서·행동장애연구. Vol. 33, No. 2, 101-117.

조계완. “타인 믿을 수 있다” 26%…한국인들, 사회적 관계 행복감 낮아. <한겨레>. 2016.10.17.

Bjørnskov, C. (2008).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3(1), 43-62.

Helliwell, J. F., & Putnam, R. D.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9(1449), 1435-1446.

Leung, A., Kier, C., Fung, T., Fung, L., & Sproule, R. (2013). Searching for happiness: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A DelleFave (Ed.), The exploration of happiness (pp. 247-267).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Ram, R. (2010).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Additional cross-country evide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4), 409-418.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1), 10-19.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308
  • 기사등록 2022-08-23 14:09: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