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편지희 ]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해 우리는 흔히 ‘계획’을 세운다. 처음에 당찬 의지로 목표를 다짐했더라도, 수많은 유혹들에 내적 갈등을 마주하곤 한다. 


상충하는 유혹들로 결국 목표를 이루지 못할 때면, 나에 대한 자책이 앞서기도 한다.


“나는 의지가 부족해."

"내 통제력을 잃었어.”

 

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때, 당신은 통제력이 부족한 자신을 질책해본 적이 있지 않은가?


유혹을 뿌리치고 목표를 잘 실천하는 사람, 유혹에 쉽게 넘어가 목표를 잘 이루지 못하는 사람, 당신은 어떤 사람에 가까운가?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이유, ‘방해 욕구’ 때문이라고?



우리가 눈뜨고 있는 시간 중 절반가량, 어떠한 형태로든 욕구를 느낀다고 한다. 


한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하루에 7번씩 자신이 느끼는 욕구에 대해 질문하였다. 10,558개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얼마나 자주 욕구를 느끼세요?’라는 질문에 50%라는 수치가 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욕구 중 절반가량이 목표 달성에 좋지 않은 ‘방해 욕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달성과 자기통제의 연관성



우리가 목표를 성취하고 못 하는 일은 ‘자기통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각종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목표를 잘 달성하는 사람을 우리는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이라고 부른다. ‘자기통제력(self-control)’이란, 우리가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주의집중과 정서, 행동을 잘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기 통제력을 가지고 목표를 잘 이루는 사람과 그렇지 못 한 사람은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그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



자기 통제력이 강한 사람에 대한 오해



자기통제가 높은 사람의 이미지를 떠올려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통제가 높다고 하면 보통 ‘잘 참는 사람’, ‘인내력 좋은 사람’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자기통제가 높은 사람은 잘 참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애당초 참을 일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왜 그럴까?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어떤 사람일까?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분명한 구별점을 보였다.


그 특징은 첫째, 내적 갈등을 별로 느끼지 않는다.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어떠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욕구 자체가 별로 없다고 한다. 이렇게 방해 욕구가 적기 때문에 자신의 내적 갈등을 느끼는 일도 덜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자기 통제를 해야 할 필요가 별로 없다.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무언가를 참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 있다. 흔히 자기 통제력이 있는 사람이라고 하면, 기를 쓰고 욕구를 참아내는 모습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이들은 방해 욕구 자체를 덜 느끼기 때문에 참아야 할 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다.



자기 통제력이 좋은 사람으로 가는 길, ‘OO’ 만들기



자기 통제력이 강한 사람들은 큰 차별점을 보였는데, 바로 ‘습관’이 달랐다는 점이다. 자기 통제력이 좋은 사람은 유혹에 잘 저항하는 사람이라기보다, 효과적인 습관을 통해서 유혹을 잘 피하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자기 통제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아무리 유혹을 피하더라도 우리 안에 있는 방해 욕구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수많은 욕구와 유혹이 일어나는 순간에 하는 자기 통제 시도 또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실제로 연구에서는 자기 통제 시도가 없을 때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가능성은 70%, 통제 시도를 할 때는 확률이 17%로 떨어진다는 결과를 밝혔다.


그럼에도, 우리가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유혹에 맞서는 것이 아닌, 유혹을피할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해 자주 좌절한다면, 나의 환경을 한번 살펴보자. 기를 쓰고 자신을 통제하기보다, 목표를 달성하는 일 자체에 에너지를 둘 때 당신은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1)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2)

내 안의 자기 불일치, 헤쳐 나갈 수 있다

완벽주의와 '나'

정신건강과 신체 건강, 어떤 관계에 있을까?

장애라는 '다름', 특별함이 되지 않게

당신의 행복을 위한 열쇠, ‘사회적 자본’




출처

Hofmann, W., Baumeister, R. F., Förster, G., & Vohs, K. D. (2012). Everyday temptations: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desire, conflict, and self-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2(6), 131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355
  • 기사등록 2022-09-03 17:32:2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