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희
1. 걱정과 두려움
○ 9월조사에서 평균은 1.77로 나타났으며, 3월조사 1.73, 5월조사 1.59 보다 높았음.
2. 불안
○ 9월조사 불안 위험군(cut-off 10점 이상)은 18.9%로 5월조사 15%보다 높았으며, 3월조사 19.0%와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남.
3. 우울
○ 우울, 자살사고는 걱정과 두려움, 불안과 달리 시간이 경과하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9월조사 우울 위험군(cut-off 10점 이상)은 22.1%로 5월조사 18.6%, 3월조사 17.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건강조사 (2018) 3.79%보다 매우 높게 나타남.
○ 자살사고는 9월조사에서 13.8%로 5월조사 10.1%, 3월조사 9.7% 보다 높게 나타났음. 이러한 결과는 2018년 성인 자살생각률 4.7%(2020 자살예방백서, 2020)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임.
4. 음주특성
○ 9월조사에서 음주률은 64.9%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건강조사 (2018) 음주률 60.9%에 비해 높게 나타남.
5. 일상생활(직업, 사회, 가정생활) 방해 정도
○ 9월조사에서 일상생활방해정도는 사회/여가활동방해 6.64, 가정 생활방해 4.74, 직업방해 4.57순으로 나타났으며, 5월조사에 비해 높았으나 3월조사에 비해서는 낮았음.
6. 일상생활 스트레스, 필요 서비스
○ 일상생활 스트레스 상황은 “계획했던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음” 1.71, “경제적 어려움” 1.45, “부정확한 정보나 가짜 뉴스로 인 한 혼란“ 1.45 등 순으로 나타났음.
출처: 국립정신건강센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