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심리치료 분야의 아버지, 아론 백의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 나를 아프게 하고 있지는 않나요?
  • 기사등록 2022-09-24 17:25:05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재하 ]


심리치료 분야의 거장 아론 백(Aaron Beck)은 오늘날 전 세계에서 쓰이는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의 창시자이다. 그의 인지 치료는 일반 환자들뿐만 아니라 약물 치료가 효과적이지 못했던 환자, 또는 아이들의 심리치료에 엄청난 효과를 보였고, 현재까지도 인지 치료를 확장한 후속 논문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개인의 생각이 감정과 행동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 아론 백의 인지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인지하지 못했던 자연스러운 생각


아론 백은 인지 치료의 탄생 비화를 필두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인지 치료는 루시라는 환자와의 상담 과정에서 의문을 가지면서 처음 제기되었다. 그 당시 심리치료는 치료 동안 환자가 한 모든 생각과 기분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다. 하루는 루시에게 상담 후 기분이 어떤지 물어보았는데, 그녀는 긴장한 상태라고 대답하였다. 아론 백은 왜 불안한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달라고 했고, 그녀는 이렇게 답했다. “사실, 선생님께서 저랑 대화하는 게 지루하다고 생각하시는 줄 알았어요. 그래서 늘 긴장상태였고요.”


우리는 왜 같은 상황을 다르게 받아들일까?


아론 백은 이 대화를 통해 지금까지 환자들이 보고하지 않은 생각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른 환자들에게도 비슷하게 질문을 한 결과,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상담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각자가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한 환자는 “선생님께서 저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 것 같지 않아요.”라고 말했고 분노를 느꼈다. 다른 환자의 경우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 같지 않아요.”라고 답하며 슬픔을 느꼈다. 이렇게, 모두 같은 상황에 처했지만, 각자가 하는 생각이 다르고, 그렇기 때문에 환자들이 느끼는 감정이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환자를 분석해 본 결과, 어떤 정신장애이든지, 환자들이 경험을 해석하는 각자의 독자적인 방법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두 가지 특징을 종합하여 아론 백은 인지 모델의 핵심이 되는 한 가지 이론을 세웠다. 어떤 상황에 대하여 환자들은 모두 경험을 해석하는 각자의 경향이 있고, 이는 사실을 왜곡하여 받아들여 개인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곧 행동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악순환의 고리


이론의 도식화 예시

앞서 말한 루시와의 대화를 통해 아론 백의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앞선 루시와의 상담에서는 ‘선생님은 나랑 대화하는 것이 지루하다고 생각하셔.’는 자동적 사고이다.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란, 개인이 특정 사실을 왜곡하여 받아들인 잘못된 생각이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루시는 사실과는 다른 생각의 오류(thinking error)를 범했다. 그리고 이 잘못된 자동적 사고가 곧 불안이라는 감정으로 이어졌고, 이는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는 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감정과 행동이 변화하다


신기하게도 아론 백은 사건을 자동적 생각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환자가 해석하도록 유도하자 환자의 기분이 즉각적으로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아무도 나에게 말을 걸지 않은 상황’에서 ‘모두는 나를 싫어하는구나. 나는 사랑받을 수 없어.’라는 자동적 사고를 한 환자는 우울한 기분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자 그는 “그들이 다른 이유 때문에 인사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닌가요?”라고 물었고, 환자는 잠시 뒤 “생각해 보니 다들 각자의 사정이 있었던 것 같아요.”라며 기분이 좀 나아졌다고 답했다. 개인의 뒤틀린 생각이 부정적인 감정을 끌어내는 고리를 끊어주자 환자의 기분이 나아질 수 있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론 백은 택시 운전사와의 대화를 통해 인지 치료를 요약한다. 운전자는 물었다. “인지 치료가 뭐죠?” 백은 답했다. “사람이 자기 자신과 대화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에 운전사는 웃으며 말했다. “그게 바로 사람들이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는 이유인 줄 알았는데요.” 백은 다시 말했다. “그렇죠,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어떻게 답하면 되는지를 가르쳐준답니다.” 


당신의 자동적 사고는 건강한가요?


우리는 이상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 이상을 좇아 매일 열심히 살아갑니다. 목표라는 것은 의지를 돋우어 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목표에 비해 한없이 작은 내 모습에 좌절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 안의 자동적 사고로 인해 상황을 더 과장하여 받아들이지는 않았나요? 우리가 알게 모르게 가지고 있는 자동적 사고가 사실을 왜곡하여 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은지, 나도 모르게 나를 깎아내리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 기사는 아론 백이 쓴 학술지1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Beck A. T. (1997). The past and future of cognitive therapy. The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6(4), 276–284.

덧붙이는 글

한국 심리학 기자단에 합격하고 가장 처음으로 공유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다름 아닌 아론 백의 인지 치료에 대해서였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방법이 나를 아프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모든 것이 변했습니다. 우연히 알게 된 아론 백의 이야기가 저에게 큰 힘이 되었듯이, 여러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546
  • 기사등록 2022-09-24 17:25: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TPT_mangosteen2022-10-17 22:05:13

    나의 자동적 사고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나 스스로를 힘들게 하지는 않았었는지, 나의 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했던적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자동적인 사고 안에 어떤 인지적인 오류들이 있었는지 잘 알아보는것 또한 중요할것입니다. 아론 백의 인지치료에 대해 다시 한번 상기 시키는 시간이였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