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성우 ]


위 사진은 기사와는 무관한 사진입니다.


사람들이 심리학적인 지식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는 것을 좋은 일이지만 안타까운 일이기도 하다그만큼 사람들이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심리적인 현상을 보고 듣고 경험한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중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사람들에게 흔히 쓰이는 심리학적 용어는 아마도 PTSD, 트라우마일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힘들거나 불쾌한 경험에 대해 “PTSD 오려고 한다.”, “트라우마”라는 식의 대화를 하는 경우도 있다또한많은 드라마와 영화에서도 PTSD를 소재로 이용해 이야기를 전개하기도 하며기사 혹은 칼럼을 보더라도 트라우마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이 두 가지 개념들은 일상생활에서 거의 같은 뜻으로 여겨지며무분별하게 사용된다하지만 실제로 이 두 가지는 다른 개념이다.  



트라우마와 PTSD


트라우마즉 외상은 죽음의 위험신체적 장애 등과 같이 개인에게 심각한 수준의 충격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사건들을 의미한다전쟁 경험갑작스러운 장애 경험주변인의 사망 등이 해당할 수 있다이러한 트라우마로 인해 특정한 심리적 증상을 반복적이고 지속적해서 보일 경우 진단되는 장애가 바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인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심리적 외상의 경우 본인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가질 수도 있지만때로는 주변의 끔찍한 사고가 일어난 것을 보고 듣는 등의 간접적 경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그렇기에 심리적 외상은 사건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많은 요인들에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이러한 외상은 초기일수록심각할수록오래될수록 심리적 파급효과가 훨씬 부정적이고 크다그러나 외상 사건을 경험한 모든 개인에게서 PTSD가 발병하는 것은 아니다때문에 PTSD의 발병 원인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PTSD의 치료:EMDR


그렇다면 이러한 PTSD는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현재 PTSD에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진 치료법은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이다. EMDR(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1987Francine Shapiro 박사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다

그는 여러 고민을 하면서 공원을 산책하던 중 눈을 빨리 움직이니 부정적인 생각과 경험들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그래서 더욱 오래된 부정적인 경험부모님과의 문제 등을 생각하면서 눈을 빨리 움직여보았다그때도 앞선 경험과 동일하게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경험했다

이 일을 신기하게 여긴 Shapiro 박사는 주변 지인들에게도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하면서 다른 사람들도 같은 경험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를 바탕으로 EMDR 치료법을 개발하게 되었다이후 여러 임상가와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2004년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PTSD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채택되었다



EMDR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EMDR 치료는 총 8단계로 구성된다


처음 1~2단계에서는 EMDR 치료를 위한 기초 단계로 내담자에 대한 자료 수집과 치료 계획을 세우고 EMDR에 대한 교육 및 치료 환경 조성을 한다이어지는 3~8단계는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는 외상 경험을 둔감화하고 재처리한다. 3~7단계까지 절차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고 매 단계 초반에 8단계인 재평가단계를 거치면서 둔감화를 이루어 낸다.


그리고 본격적인 3~8단계에서는 내담자에게 빠르게 물체가 움직이는 영상을 보면서 머리를 고정한 채 눈으로 그 물체를 따라 움직이라고 한다그리고 잊고 싶은본인을 힘들게 하는 부정적인 경험즉 외상 경험을 떠올리라고 하는 식으로 EMDR 치료가 진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목표로 한 부정적인 경험즉 외상 경험을 꺼내고 그 경험이 적응적인 형태로 재처리되어 부정적 경험은 소실되고 자연스럽게 새로운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정보 처리 능력을 회복한다


사회적으로 트라우마, PTSD와 같은 단어가 흔히 사용되는 반면 그에 대한 치료법은 아직 사람들에게 낯설다이 기사를 통해 조금이라도 많은 사람들이 EMDR에 대해 알게 되고 주변에 힘들어하는 사람혹은 힘들어하는 스스로에게 좋은 해결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지난 기사

한 번이라도 손대면 멈출 수 없다. 펜타닐

그들은 왜 카메라를 꺼내들었는가?




<참고자료>

윤병수. "PTSD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가능성."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6.3 (2020): 161-183. 

이혜미,and 김유미. "PTSD 위험군 초등학생의 PTSD 증상 감소와 PTG 증진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초등상담연구 18.2 (2019): 181-210.

권석만. 2019년 7월 10일. 현대 이상심리학 2판, ㈜학지사

張蓮集. "심리적 외상과 EMDR." 사회과학논총 16.- (2009): 171-193. 

강영심.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으로 촉발된 특수교사의 트라우마 치유 사례: EMDR 심리치료 중심으로."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8.3 (2022): 377-410. 

배활립,김대호,장희순,Bae Hwal-Lip,Kim Dae-Ho,and Jang Hee-Soon. "소아기 특정 공포증의 EMDR 치료 증례." 대한불안의학회지 5.1 (2009): 42-4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4765
  • 기사등록 2022-10-20 14:22: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