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재하 ]


Twilight by Dikshamaner


외로움


겨울날, 낮잠을 자고 일어나 가장 먼저 느낀 감정은 개운함이 아닌 외로움이었습니다.

여름과는 달리 해가 빨리지는 겨울이 너무나 야속했습니다.

그 흔한 교통 소음조차 들리지 않는, 고요한 정적으로 가득 찬 방 안에 나 홀로 누워있습니다.

이 공간의 정적을 깨뜨리고자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틀어봅니다.

내가 내는 이불 소리가 아닌 다른 소리가 들려온다는 게 어찌나 고마운지 모릅니다.

하지만 영상이 끝나자 소리로 가득 찼던 방에 공허함이 밀려들어옵니다.

언젠가 익숙해지겠지라며 나를 다독여 봅니다.


겨울이 찾아오니 더더욱 외롭게 느껴지는 밤. 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고, 외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인간이 외로움을 느끼는 이유: 매슬로우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는 1943년 인간 욕구의 계급도(Maslow’s hierarchy of needs)를 소개했다.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이라고도 불리는 이 이론에 의하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섯 개의 욕구를 가지고 태어나고, 이 욕구들은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를 이룬다고 한다. 


매슬로우 욕구 5단계 (simplypsychology)

앞서 말했듯 인간은 욕구를 단계적으로 느끼게 된다. 그중 가장 우선시 되는 욕구가 바로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이다. 생리적 욕구는 개체의 생명 유지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그 어떤 욕구보다 가장 먼저 만족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식욕, 수면욕, 성욕 등의 필수 욕구가 충족되면 인간은 안전 욕구(safely needs)를 느끼게 된다. 끼니를 해결하는 데(생리적 욕구)에 그치지 않고, 건강하게 살고 싶은 욕구, 좋은 직장에서 안정적으로 살고 싶다는 욕구가 이에 해당된다. 


인간이 외로움을 느끼는 이유는 바로 세 번째 단계의 욕구, 소속과 애정의 욕구(love and belonging needs) 때문이다. 인간의 기본적 욕구인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가 충족됐을 때, 인간은 다른 인간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집단에 소속하고 싶어 한다. 외로움은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못했을 때 느끼는 감정이다. 


네 번째는 바로 존경 욕구(esteem needs)이다. 매슬로우는 존경 욕구를 두 가지로 분류한다. 나에 대한 존경 욕구(esteem for oneself)는 나의 가치를 올리고 성취감을 느끼고 싶은 마음이다. 다른 사람들의 존경 욕구(the desire for reputation or respect from others)는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말 그대로 존경받고 싶어 하는 마음이다. 흔히 명예 욕이라고도 표현한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자기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이다. 피라미드의 가장 최상층에 위치한 이 욕구는 모든 단계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실현 욕구란 개인의 잠재력 실현, 자기 성취, 개인의 성장을 추구하는 욕구를 말한다. 매슬로우는 돈을 많이 벌지 못하지만 그림을 그리는 행위가 즐거워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를 예시로 설명한다.  



외로움 ‘나 혼자' 극복하기


외로움을 극복하는 가장 효과 좋고 빠른 방법은 누군가를 만나 대화를 하고 감정적인 교류를 나누며 소속과 애정의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외롭다고 다른 사람에게 의지할 수는 없는 법이다. 우리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해선 홀로 외로움을 이겨내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외로움 극복의 첫걸음, 생각의 고리 끊어내기

매슬로우는 앞서 언급한 욕구의 1~4단계까지를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라고 정의한다. 더 오래 결핍되고 부족할수록 그 욕구가 더욱 커진다는 뜻이다. 쉽게 말하자면 장시간 금식을 했을 때, 배고픔의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외로움도 이 결핍 욕구에 해당한다.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나를 외로움의 굴래에 방치하면 방치할수록 더욱 외로워질 것이다.


외로움 극복 두 번째, 무엇이던 시작하기

생각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행동을 하여 주의를 환기하는 것이다. 이때 좋아하는 영화 혹은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은 일시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는 있지만 영화가 끝남과 동시에 더욱 공허함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가 추천하는 것은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다. 


영국 노팅엄 대학교 연구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매일 15분 동안 운동을 했을 때, 관절염 환자들의 고통이 줄어들었고 염증 수치가 감소하는 반응이 나타났다고 한다. 또한, 운동을 하면 뇌에서 신경 화학물질인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s)’가 분비되는데, 이 물질은 기분을 좋게 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만들어준다. 단 15분이라는 시간을 투자하여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외로움을 이겨내는 가장 효과적이고 건강한 방법인 것 같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외롭고 우울감이 느껴진다면 영양제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이다. 인간이 특정 감정을 느끼는 원인은 뇌의 화학반응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론 호르몬의 분비로 인하여 생각처럼 감정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있다. 약을 통해 뇌의 화학적인 반응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것도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결론


혹여나 외로움을 느끼는 자신이 성숙하지 못하다거나 독립적이지 못하다고 자책하는 사람이 있다면 외로움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해주고 싶다. 우리는 사회적 동물이고 애정은 본질적인 욕구이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나만의 극복 노하우를 찾는다면 외로움을 즐기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심리치료 분야의 아버지, 아론 백의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특별한 사람이 되는 법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심리 효과 5가지

새드 엔딩은 왜 꾸준히 사랑받을까?






출처: 

Mcleod, S. (2020, December 29). Maslow's hierarchy of needs. Simply Psychology. Retrieved November 13, 2022, from https://www.simplypsychology.org/maslow.html 

Zimmerman, P. (2022, March 8). How emotions are made. Noldus. Retrieved November 13, 2022, from https://www.noldus.com/blog/how-emotions-are-made#:~:text=Different%20networks%20in%20the%20brain,%2C%20surprise%2C%20sadness%20and%20anger 

윤새롬. 운동 후 쾌감 느끼는 이유, ‘이것’ 때문 (연구). 하이닥. Nov 19, 2021.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50575


 




덧붙이는 글

저도 겨울밤 좁은 방에 메아리치는 외로움을 견디지 못하고 기사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확실히 기사 쓰는 일에 몰두하니 기분이 한결 나아지는 것 같습니다 :)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034
  • 기사등록 2022-11-22 21:15: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