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상담학회] 2022 집단상담학회 추계학술대회 <집단상담, 실시와 연구 함께하기>
  • 기사등록 2022-11-15 09:45:26
  • 기사수정 2022-11-15 10:28:00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배윤정 ]


2022 집단상담학회 추계학술대회

 

<집단상담, 실시와 연구 함께하기>

 

 치열했던 여름이 가고 가을이 무르익어가는 요즈음이제 서늘해진 바람과 다채롭게 물든 나무들이 위로처럼 다가옵니다한편으로는바람과 함께 춤을 추는 낙엽들은 그물에 잡힌 물고기들이 펄떡이는 것 같이 보여서겨울이 오기 전에 1년 마무리를 하자면 가을 역시 치열하게 보내야 하는 많은 우리 회원님들의 상황을 생각하게 합니다여러 가지 바쁜 일이 많으시겠지만집단상담학회 추계학술대회를 함께 하시면서 잠시 유익하고도 편안한 시간을 보내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입니다추계학술대회 주제를 구상하면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집단상담들이 연구로 잘 연결되는 생산성을 가지면 참 좋겠다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연구를 염두에 두고 집단상담을 진행할 때 집단상담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과정이 더 성실하고 촘촘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기에 집단상담을 잘 진행하는 것과 집단상담 진행과 연구를 연결하는 것은 사실상 실무와 연구가 윈-윈하는 바람직한 노력이라고 생각이 되어우리 집단상담학회 회원님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주제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래서 기쁘고 설레는 마음으로 집단상담의 실제와 연구 모두에 능통한 훌륭한 강사분들을 모셨습니다쉽지 않은 주제인데도 발표를 허락하시고 좋은 발표가 되기 위해 고심해 주신 권경인김형수김명찬 교수님 한 분 한 분께 진심으로 따뜻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다년간 꾸준히 집단상담을 진행해오면서 집단상담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해 오신 권경인 교수님은 그렇게 살아오셔서 저희 집단상담학회 발표를 자주 해 주시게 되는 귀한 분이며진지하고 성실하게 집단상담을 연구하고 가르치시는 멋진 연구자이자 지도자인 김형수김명찬 교수님께서는 양적 연구질적 연구로 나누어 집단상담 실제와 연구를 어떻게 연결하여 함께더 잘 해낼 수 있을지를 보여주실 것입니다전문가이신 세 분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참여하신 회원님들의 집단상담 운영역량과 연구역량이 함께 향상되기를 기대합니다집단상담을 사랑하고 집단상담학회를 응원해 주시는 많은 집단상담학회 회원님들께서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 일시 - 20221126일 토요일 13:30~17:00 (4시간)

✿ 장소 Zoom을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 (추후 개별 안내 예정이오니 홈페이지 회원정보의 연락처와 이메일을 확인하신 후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일정 안내

✿ 인정영역

※ 한국상담학회 수련시간 4시간 인정

※ 집단상담학회 분과 학술대회 1회 참여 또는 집단상담학회 분과 보수교육 4시간으로 인정됩니다.

✿ 이수증 발급: 20221130(이후,

학회 홈페이지 로그인 → 마이페이지 → 이수증 발급확인가능

✿ 문의 gca2015@naver.com사무국장 010-3381-2302

 

()한국상담학회 집단상담학회


※ 자세한 사항은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상담학회 : https://counselors.or.kr/

 

출처 : 한국상담학회


저희 The Psychology Times에서는 다양한 학회 소식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상담, 심리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060
  • 기사등록 2022-11-15 09:45:26
  • 수정 2022-11-15 10:28: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