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세연 ]



인간은 매일 잠을 잔다. 그만큼 잠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모두가 아는 사실일 것이다. 그러나, 어느새부턴가 현대인들에게 수면 부족, 수면 장애와 같은 현상은 매우 일반적인 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01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의 국가별 일평균 수면시간에 대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41분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순위에 위치 해있다.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 수면시간인 8시간 22분보다 41분이나 짧은 시간이다. 이를 통해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부적절한 수면 습관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엔 특히 수면에 관한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가 부적절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한다고 생각한다. 잠을 많이 자는 사람은 게으른 사람으로 평가하는 반면, 적게 자고 더 많이 일하는 사람들은 성실한 사람으로 여기며 훨씬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봤을 때 지속적인 수면 부족의 상태에서는 절대로 하루를 정상적으로 영위해나갈 수 없으며 더 나아가 건강한 삶을 영위해나갈 수 없다. 하루를 마감할 무렵 우리의 뇌 또한 억제 과정을 일으켜 각성을 떨어뜨리고 경계를 풀도록 강제하여 매일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수면이 우리 몸에서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길래 우리에게 이토록 필수적인 것이 되었을까?

 

 


수면만이 가지는 중요한 기능 


우리는 잘 느끼지 못하겠지만 수면을 통해 우리는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 심지어 이 혜택은 우리가 오직 수면하는 동안만 제공받을 수 있다. 수면이 하는 다양한 역할 중 오늘은 크게 다섯 가지 중요 역할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1. 신체 회복

수면은 뇌와 몸 모두에 휴식을 준다. 우리의 몸뿐만 아니라 뇌 또한 항상 쉬지 않고 활동하기 때문에 뇌와 몸 모두에 휴식의 시간을 반드시 주어야 한다. 잠을 자는 동안 이러한 휴식 시간을 통해 우리 몸의 여러 기관은 스스로 재생, 회복하는 과정을 거치며 신체를 정상화시키고 다음 날 다시 왕성히 활동할 수 있게 된다. 

 

2. 정보 처리 기능 

수면을 통해 우리는 기억을 저장하고 재분석할 수 있게 된다. 무언가를 학습한 뒤 잠을 자면 기억이 더욱 단단해지고 잠자기 전보다 향상된다. 잠을 자며 기억의 과정을 더욱 체계화시키고 더 깊은 곳으로 저장하는 작업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수면은 자신의 기억을 재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복잡하거나 창조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이 잠을 잔 뒤 “아!”하고 깨닫는 경험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이다. 

 

3. 정신 건강 

수면은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과 같은 증상들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스트레스에 더욱 민감해지며 없던 정신 질환 증상이 생기거나 이미 갖고 있던 증상이 악화되기까지 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경우 우리의 정신 건강을 지키는 데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4. 노폐물 관리

수면하는 동안 우리의 뇌 속 노폐물이 제거된다. 뇌에는 뇌의 외부 공간을 채우고 있는 뇌척수액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뇌 내부로도 이동하여 혈관을 따라 뇌를 지나가면서 뇌세포 사이사이에 있는 노폐물들을 청소한다. 하지만, 뇌가 잠들 때만 뇌세포가 수축하며 세포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 뇌척수액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잘 때만 뇌 속의 노폐물들이 청소될 수 있다. 뇌가 깨어 있을 땐 노폐물들이 그냥 방치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노폐물들이 계속해서 쌓이며 치매로까지 발전하게 될 수 있다. 

 

5. 항상성 유지 

수면은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를 일정하게 맞춰주고 면역체계를 관리 시켜 준다. 자는 동안 면역세포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세포가 제거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여 면역력이 증진될 수 있다. 따라서, 잠을 자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감기와 같은 만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수면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사람은 일생의 3분의 1의 시간을 잠을 자는 데 사용한다. 따라서, 누군가에게는 이 시간이 조금은 아깝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 또한 매우 바빴을 적에는 잠을 자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 잠을 자지 않고도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매우 어리석은 생각을 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수면만이 제공해줄 수 있는 여러 혜택이 있으며 이것들은 인간이 생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것들이다. 따라서, 수면은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강력히 말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스트레스의 증가, 활동시간의 증가, 전자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해지고 있으며 매일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다는 것에는 동의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매일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수면의 중요성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지난 기사

당신은 합리적인 소비자입니까?

내가 나로 살아가기 어려운 이유

그저 열심히 사는 것이 능사일까?

당신의 삶이 고통스럽고 불행한 이유

행복한 인간관계, 불행한 인간관계




참고문헌

James W. Kalat. (2019). 생물심리학. 서울:박학사.

김면하. (2014). 아침형-저녁형 차원, 우울 및 스마트폰 사용이 대학생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정유나. (2020).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충청남도.

'감염' 공포… 최고 면역제 '잠'으로 잡는다 [헬스조선]. (2020). URL: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28/2020022800221.html

[칼럼] 수면이 보약이다 [브레인미디어]. (2022). URL: https://www.brainmedia.co.kr/MediaContent/MediaContentView.aspx?MenuCd=INSIGHT&contIdx=23065

숙면해야 뇌 노폐물이 제대로 청소됩니다 [헬스조선뉴스]. (2016). URL: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51001317

[수면과 뇌 ②] 건강한 수면으로 통증을 치료하라 [헬스조선뉴스]. (2022). URL: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2032901009

수면의 중요성과 5가지 역할! [Youtube]. (2021). URL: https://www.youtube.com/watch?v=7dSgcnBq1_w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196
  • 기사등록 2022-12-06 14:54: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