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안예린 ]




웹툰 <치즈인더트랩>

2010년에 첫 연재를 시작한 네이버 웹툰 <치즈인더트랩>은 총 312화로 완결된 인기 있는 로맨스 웹툰이다. 그 인기를 힘입어 2016년에는 원작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하였다. 총 16부작으로 방영되었으며 최고시청률 7.1%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남기고 드라마는 성공적으로 종방되었다.


이러한 <치즈인더트랩>의 성공적인 진보가 하나의 유행어를 남겼는데, 그것은 바로 ‘손민수하다’는 신조어다. ‘손민수하다’의 어원은 작중 손민수라는 캐릭터에서 기원했다. 손민수는 주인공 홍설과 같은 대학교 동기이며 평범하고 눈에 띄지 않는 외형으로, 초반에는 지나가듯이 잠깐 등장하고 넘어갔다. 그러나 손민수의 행적은 이걸로 끝이 아니었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 중

어느 날부터 손민수의 차림이 홍설을 닮아갔다. 홍설이 주로 입는 옷과 헤어스타일, 가방, 물건, 인형 고리 등등 홍설의 사소한 습관까지 모두 따라 하기 시작한 것이다. 나중에는 도둑질까지 하는 거로 모자라 과제물을 베끼고, 남자친구가 있다는 거짓말까지 하며 홍설을 당혹스럽게 만든다. 손민수의 만행에 많은 사람들이 분노와 답답함을 느꼈고, 남을 따라 한다는 의미에서 ‘손민수하다’는 유행어가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손민수는 왜 홍설을 따라 한 걸까? 사실 작중 손민수는 처음부터 홍설에게 호의적이었다. 홍설이 곤욕을 치를 뻔했을 때는 친하지도 않은데 먼저 도와줬고, 롤 모델로서 홍설을 떠올리기도 했다. 손민수는 홍설을 싫어해서 따라 한 게 아니라 그녀를 진심으로 동경해서 따라 한 것이었다.


자신만의 개성이 드러나는 독특한 패션 스타일과 유명하고 멋진 남자친구까지 가진 홍설. 평범하고 소심했던 손민수는 그런 홍설을 무척 닮고 싶어 했다. 이처럼 동경하는 누군가가 되고 싶거나 신분 상승을 바라는 마음에 동일한 상품을 소비하는 현상을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라고 한다.


Pixabay

파노플리는 프랑스어로 집단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파노플리 효과를 일으키는 사람들은 특정 상품을 소비하면 그 상품을 소비하고 있는 특별한 집단과 동일한 부류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유명한 연예인이 모 브랜드의 상품을 이용하는 것을 보고, 자신도 그 상품을 똑같이 소비하면 연예인처럼 유명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고가 상품과 명품 화장품, 브랜드 의류, 외제 차 등을 사고 싶어 하는 심리 역시 대표적인 파노플리 효과라고 볼 수 있다. 값비싼 물건일수록 자신이 재벌, 즉 상류층에 속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특정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망을 잘 드러낸 현상이 바로 파노플리 효과이다.


이러한 파노플리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 기법은 주변에서 꽤 흔하게 일어나고 있다. 유명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를 광고 모델로 내세워 제품을 홍보하면 타 품보다 유독 빠르게 품절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올리브영, 이니스프리, 랄라블라 등 화장품 로드 숍에서 쉽게 목격되며, 의류 플랫폼인 에이블리, 지그재그, 무신사 등에서도 일어난다.


유명하고 동경의 대상으로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인물을 모델로 선정하면 그 제품의 판매량이 현격히 증가한다. 화장품이나 의류뿐만이 아니라 게임, 생활용품, 비타민, 운동기구 등등 각종 회사에서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 유명인을 광고 모델로 내세우고 있다.


Pixabay

마케팅 기법으로도 사용되는 파노플리 효과는 과연 나쁜 것일까? 좋아하거나 선망하는 대상과 같은 위치에 서고 싶어 하는 욕망은 누구나가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홍설을 따라 했던 손민수처럼, 정도가 지나치면 특정 대상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다. 그러니 다른 사람을 ‘손민수하는’ 일은 적당한 선에서 멈추는 것이 좋다.


당신은 오늘, 누구를 손민수했는가. 우리는 모두 진짜 손민수가 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특정 집단이 되고 싶은 마음에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따라 하고 있는 건 아닌지, 스스로의 행적을 돌아보는 게 좋을 것이다.





지난 기사

한 명을 죽이느냐, 다섯 명을 살리느냐

"아저씨가 때렸어요" 4살 아이의 증언,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사랑에도 이론이 있을까?

그때는 즐거웠지

내가 아프면 관심을 주실 건가요?





참고문헌

이상헌칼럼-파노플리 효과. [metro]. (2017).

URL: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17041700059

[시사금융용어]립스틱·파노플리 효과가 뭘까요?. [경인경제]. (2020).

URL: http://www.gnewsbiz.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34

파노플라 효과. [단비뉴스]. (2021).

URL: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84

나도 금수저처럼 보이겠지?, 파노플리 마케팅 효과. [셀러 뉴스]. (2022).

URL: http://www.selle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9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205
  • 기사등록 2022-12-08 14:37: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