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승환 ]

게티이미지뱅크

긍정심리학의 탄생 배경


우리가 상담에 대해서 떠올린다고 하면 어떤 것이 떠올릴  있을까물론 수많은 것들을 떠올릴  있지만 정신적으로 힘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떠올릴  있을 것이다상담 심리학이 발전되게  계기도 이와 다르지 않다임상상담정신의학의 경우 모두 사람들의 정신병리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전되어 왔다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정신적인 고통을 겪으며 어떤 방법을 통해서 정신 병리를 나아지게 할지에 대해서 연구해왔다그러한 연구들을 통해 현재 우울증에 대해서 약물이나 우울증 치료 장비심리 상담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하고 있으며 그러한 효과는 나날히 발전 중에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아프지 않은 상태에서 해야 되는 것은 무엇일까신체적 관점에서 본다면 질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 평소에 꾸준한 운동을 하면 식단을 관리해야 한다꾸준한 관리를 통해 감기나 다양한 질병들에 대해서 면역력을  강화할  있고 오랜 수명의 발판이 된다이러한 것처럼 정신건강의 관점에서도 정신병리적인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떤 것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볼  있다. 

 

이번 시간에 이야기 해볼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은 그렇게 탄생하였다마틴 셀리그만도 자신의 연구 초반에는 ‘학습된 무기력’이라는 개인의 부정적 상태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고 무기력 연구를 통해 높은 학문적 위치에   있었다하지만 셀리그만은 정신병리적인 것만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에 의문을 가졌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예방을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하였다 


우리가 정신병리를 겪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차이는 무엇일까다양한 차이가 있겠지만 분명한   하나는 행복에서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나 강박증을 겪는 사람들은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에 행복감이 떨어진다그렇기 때문에 연구 초반의 셀리그만은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을 자신의 목표로 삼았다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셀리그만 책인 ‘긍정 심리학‘이라는 책에서 주요한 이야기는 행복 증진을 위한 요소로 긍정 정서를 키울 것을 말한다긍정 정서를 키우기 위해서 자신의 비관적인 생각을 줄이고 낙관성을 키울 것을 조언하다쾌락적인 정서는 한순간의 만족만  뿐이기 때문에 만족이라는 것에  써야 하면 이러한 만족을 달성하기 위해서 성격 강점과 미덕을 강조하게 된다자신의 대표 강점을 찾아내고 그것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러한 강점은 사람마다 차이가 존재한다그래서 직업사랑자녀 양육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강점을 찾아 만족을 느끼고 진정한 행복에 다가갈 것을 말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에 셀리그만은 자신의 긍정 심리학 이론을 새롭게 구성하게 되는데 그것은 ‘플로리시‘라는 책에서  나와있다자신이 기존에 펼쳤던 행복이라는 단어가 개인의 감정적 부분에 치중되어 있고 보다 넓은 관점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웰빙이론을 펼쳐나가게 된다웰빙은 ‘구조물’로서 측정 가능한 행복과는 차이를 보인다웰빙을 구성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측정 가능하지만 ‘웰빙‘ 자체는 측정가능하지 못한 측정물로만 존재한다. 


웰빙의 구성 요소들은 줄여서 PERMA라고 부르게 되는데세부적으로 긍정적 정서몰입관계의미성취를 말한다 5가지 요소들을 종합해서 웰빙을 구성하게 되며 하나하나는 측정 가능하다 

 

긍정심리학의 한계


많은 학자들이 초기 이론과 후기 이론에서 차이를 보이듯이 셀리그만 또한 자신의 행복이론과 웰빙이론을 구성함으로써 차이를 두었다이것은 삶의 기준에 대한 이론이 언제든지 변할  있는 것이며 정해진 것이 없다는 말이 된다또한 이전에 행복에 대해 기사를  것과 유사하게 셀리그만의 행복에 대한 기준은 현재 가장 자주 사용되고 있는 행복 지표 이론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이러한 것을   우리는 이론에 기반해서 생각하면서 이론의 한계점 또한 알아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기사

나 우울증일까? (feat MMPI)
심리상담 법제화 필요성과 타 국가 심리상담법 소개

우리나라 정신건강의 현 주소 (feat 조현병)

우리나라 심리상담 법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feat 심리상담 법의 역사

행복이란 과연 무엇일까?






참고문헌

Seligman, Martin E. P.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경기도: 물푸레, 2014. 

Seligman, Martin E. P.. (마틴 셀리그만의) 플로리시. 경기도: 물푸레, 2020.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211
  • 기사등록 2022-12-11 22:39: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