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The Psychology Times=박정훈 ]
2023년 1월 동계 교육연수 안내
학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번 교육 연수에서는 긴급하고 즉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트라우마 상담의 다양한 기법을 공부하고, 죽음과 상실을 다루어야 하는 애도 상담에서 상담자들이 알고 행해야 하는 실천적 지식과 기술을 구체적으로 배우려 합니다.
애도 상담에서는 상담자들이 생각하고, 습득해야 하는 이론적, 실제적 지식을 사례를 통해 이해해보고, 트라우마 상담에서는 안정화와 기억처리 및 통합 과정까지 트라우마 치료의 단계적 접근을 이해하고 사례를 통해 치료 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해보고자 합니다.
1월 동계 교육연수는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학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1. 프로그램 안내
1) 주제 : 사례로 보는 애도와 트라우마 상담의 실제
2) 일시 : 2023년 1월 13일 (금) ~ 1월 14일 (토) 10:00 ~ 17:30
3) 대상 : 본 학회 준회원 이상, 각 일자별 1,000명 내외
※ 일자별 신청 가능하며, 2일 프로그램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 교육연수 1일 참가 시 당해 연도 심포지엄 참석 1회로 인정됩니다(연회비 납부 필수, 양일 참가 시 2회 인정).
4) 참가비 : 각 일자별 30,000원 (2일 모두 참가 시 60,000원)
5) 세부 프로그램
| 1월 13일 (금) | 1월 14일(토) | |
진행 일정 | 09:55 ~10:00 | 학회장 인사 |
|
10:00 ~13:00 (1부) | <애도 상담의 실제: 과정, 평가와 개입> 1차시: 애도에 관한 기본적 이해 2차시: 적응적 애도와 부적응적 애도 3차시: 애도 상담 모델 4차시: 애도 상담의 전략 1: 동행 5차시: 애도 상담의 전략 2: 평가 6차시: 애도 상담의 전략 3: 통합 | <트라우마 심리치료 이해와 치료: 통합적 접근> 1차시: 트라우마 치료 단계 1: 증상 감소와 안정화 2차시: 트라우마 치료 단계 2: 트라우마 기억의 처리 3차시: 트라우마 치료 단계 3: 성격의 통합 4차시: 사례를 통한 트라우마 치료 원리 이해Ⅰ 5차시: 사례를 통한 트라우마 치료 원리 이해Ⅱ | |
14:30 ~17:30 (2부) | |||
강사 | 유성경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박철옥 (연합심리상담교육센터 트라우마상담연구소) | |
강의소개 | 애도(Grief)는 다양한 상실 이후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특별히 죽음에 대한 애도 과정은 삶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죽음은 우리를 파괴하지만, 죽음에 대한 생각은 우리를 구원한다”는 얄롬(Yalom)의 말처럼 상담을 통해 죽음의 경험이 새로운 삶의 내러티브로 통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애도 상담의 목적이 됩니다. 애도 상담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애도 및 상실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애도로 인한 다양한 충격을 다룰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복합애도(Complicated Grief), 지속애도(Prolonged Grief)의 경우는 정확한 평가와 전략을 통해 적응적 애도 과정을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본 워크숍에서는 애도 상담을 실제로 진행하면서 상담자들이 생각하고, 습득해야 하는 이론적, 실제적 지식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애도 상담의 통합적 모델로 3 A (Accompany, Assessment, Assist) 모델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애도 상담의 기법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애도 상담 기법은 Neimeyer(2012) “Techniques of Grief Therapy”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기법을 기반으로 다루게 될 것입니다. | 이 강의에서 소개하는 트라우마 심리치료의 통합적인 접근은 최신 뇌과학과 연구결과를 통해 입증된 트라우마 치료 기법들의 핵심개념과 원리를 배우고, 이를 상담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치료하는 과정을 사례를 통해 배우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
2. 온라인 생중계 방식 안내
1) 행사 당일 학회 홈페이지 로그인 후 중계 페이지로 연결하여 시청 가능하도록 처리할 예정입니다.
(모바일(스마트폰, 태블릿)과 PC 모두 접속 가능)
2) 행사 당일 온라인 중계는 최종 사전등록자에 한해 시청 허가가 될 예정이며, 사전 미등록자는 시청이 불가합니다.
3) 행사 당일 출석 확인(사전등록확인)은 온라인 생중계 페이지 접속 시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수강 인정기준 등의 자세한 사항은 추후 별도로 공지됩니다.
3. 1월 동계 교육연수 신청 안내
※ 회원 자격정지자(당해 포함 3년 연속 미납자)는 본 교육에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연회비 납부(자격 정지자의 경우 자격회복) 후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1월 동계 교육연수 참가 신청은 당해 연도(2023년) 연회비를 납부하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다만, 교육연수 1일 참가 시 당해 연도 심포지엄 참석 1회(양일 참가 시 2회) 인정을 받으시려면 추후 당해 연도(2023년) 연회비를 납부해야 합니다. 학회 연회비 납부 기한 내에 납부 하지 않은 경우 교육연수에 참석하더라도 심포지엄 참석 인정을 받을 수 없습니다.
※ 학회 홈페이지>마이페이지>연회비 납부관리에서 카드 또는 실시간 계좌이체로 연회비 결제 시 결제와 동시에 연회비 납부로 처리되오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신청 및 입금 기간 : 2023년 1월 3일(화) 14시 ~ 1월 9일(월) 15시
2) 신청 방법 : 학회 홈페이지 ▶ 학술활동 ▶ 교육연수 신규등록
※ 사전 등록과 참가비 입금이 모두 확인되어야 등록이 완료됩니다.
※ 신청 기간 이외의 등록은 진행되지 않습니다.
3) 참가비 : 각 일자별 30,000원 (2일 모두 참가 시 60,000원)
4) 결제 방법
학회 홈페이지 ▷ 학술활동 ▷ 교육연수 등록내역 수정/결제/환불에서 카드 또는 실시간 계좌이체로 결제
5) 유의사항
① 결제(카드/실시간) 시 바로 홈페이지에 완납으로 자동 처리됩니다.
② 기한 내 입금하지 않을 경우, 신청이 자동 취소됩니다.
③ 입금 후 프로그램 수정(추가) 가능
: 교육연수 등록내역 수정/결제/환불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추가하실 경우, 입금기간 내에 추가금액까지 납부 완료하셔야 신청 완료됩니다. 기한 내 추가금액 미납하실 경우 추가 신청한 프로그램은 취소됩니다. 단, 양일 모두 신청한 후 1개만 취소하실 경우, 환불신청기간 중 부분환불신청으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4. 2월 동계 교육연수 환불 안내
1) 환불 신청 기간 : 2023년 1월 7일(토) 10시 ~ 1월 10일(화) 23시 59분
2) 환불 신청 방법
학회 홈페이지 ▷ 학술활동 ▷ 교육연수 등록내역 수정/결제/환불에서 신청내역 클릭, 세부페이지에서 환불 버튼 클릭하여 신청 (부분환불 신청 가능합니다.)
3) 환불 예정 기간 : 1월 동계 교육연수 종료 후 14일 이내
※ 환불 신청 기간 이후의 환불 신청은 불가하며, 위 신청 방법 이외에 기타 다른 방법(전화, 이메일, 게시판 등)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연수 당일 신청자 개인 사정으로 인한 불참 건에 대한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5. 문의 사항
1) 이메일: 나하영, 정은지 간사 education@krcpa.or.kr
2) 게시판: 학회 홈페이지 ▶ 분과위원회 ▶ 교육연수 게시판
※ 답변은 게시일 포함 2~3일 내로 드리겠습니다.
2022. 12. 14.
교육연수위원회 위원장 윤 정 숙
저희 The Psychology Times에서는 다양한 학회 소식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상담, 심리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cent_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