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원택 ]



두뇌 에너지


우리 몸에 에너지가 필요한 것처럼 우리의 뇌가 좋은 컨디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매일 독서를 꾸준히 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다고 생각해 보자. 그러나 너무 피곤한 날에는 세웠던 계획을 지키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보통 시간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관리의 중요성은 잊는 경우들이 있다. 시간 관리만큼이나 두뇌에 에너지를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두뇌에 에너지를 주입하여 뇌를 최상위 상태로 작동시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몸을 움직여라


평소에 운동을 하고 나서 공부가 더 잘 되는 것 같다고 생각한 적이 있지 않은가? 실제로 유산소 운동을 통하여 뇌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심장박동 수가 높아지고, 땀샘이 열린다. 그렇게 되면 언어 기억과 학습과 관련 있는 뇌 영역인 해마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뇌에 좋은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귀찮아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 있다. 그러나 뇌를 더욱더 발전시키고 싶다면 하루에 10분씩이라도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ANT 없애기


ANT는 Automatic Negative Thoughts의 약자이다. 즉 자동적인 부정적 사고이다. 임상신경  과학자인 다니엘 에이멘 박사는 주방에 수천 마리의 개미가 기어 다니는 모습을 보고, 개미를 쓸어 담기 시작했다. 그 순간 박사는 ‘ANT’를 약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환자들의 뇌도 개미가 들끓는 것처럼 부정적인 생각들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들을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들인 ANT를 어느 정도는 가지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을 정말 배우고 싶지만, 그만큼 자신이 똑똑하지 않기 때문에 힘들 것이라고 생각하고, 뭔가를 이루려고 노력해 봐야 실망만 할 것이라는 생각들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뇌의 한계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러한 ANT를 삶에서 제거해야만 한다. 한계를 두고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긍정적인 사람을 가까이 하자


그리고 긍정적인 사람을 옆에 두는 것이 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뇌의 잠재력은 생물학적, 신경학적 네트워크에도 관련이 있지만, 사회적 네트워크와도 관련이 있다. 동기부여 강연가인 짐 론은 어떤 사람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다섯 사람의 평균이 그 사람이라고 말한다. 짐 론의 말이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주변 사람이 우리의 삶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다. 부정적인 생각만 하는 사람하고 같이 있으면, 자기도 부정적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하고 같이 있으면, 그 사람의 좋은 영향을 받아 자기도 긍정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 긍정적인 사람을 곁에 두도록 하자.  



스트레스 관리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로 인해 스트레스로 생긴 신체적 괴로움을 완화시킨다. 가끔씩 코르티솔 분비가 일어나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기적으로 일어난다면 뇌에 코르티솔이 쌓이게 되고 뇌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스트레스를 담당하는 뇌의 영역만 활성화되어 강화되고, 다른 뇌의 영역은 관심을 덜 받게 되어 약해지는 것이다. 즉 좀 더 복잡한 사고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어 약해질 수 있다. 이처럼 스트레스는 뇌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되도록 줄이거나 피해야 한다. 



새로운 것을 배우자


마지막으로 새로운 것을 배움으로써 뇌를 성장시킬 수 있다. 배움을 지속하면 뇌에는 새로운 경로가 계속 만들어진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는 것들은 모두 해당 뉴런들을 발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경로를 만들어 낼 것이다. 즉 뇌를 사용하는 방법이 증가하며 뇌의 능력이 확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며 뇌를 최상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지난 기사

혹시 노숙자는 전부 게으르다고 생각하십니까?

남들에게는 괜찮은 인생, 그런데 왜 허무할까요?

오늘은 몇 명이 내 스토리를 봤을까?

암기빵이 있다면 좋을텐데

그럴 리가 없어

공감 스탯 늘립시다!

과거도 미래도 아닌 현재




[참고자료]

짘 퀵.(2021). 마지막 몰입. 비즈니스 북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325
  • 기사등록 2022-12-26 12:20: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