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하
[The Psychology Times=정재하 ]
어느덧 2022년이 마무리되고 2023년 계묘년을 맞이했다. 많은 사람들이 새해를 맞아 설레는 마음으로 ‘올해는 꼭 다이어트' 와 같은 목표를 세우고 운동복, 운동화를 구매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곤 한다. 하지만 1월 1일의 패기는 어디 갔는지 금세 새로 산 운동기구는 빨래걸이로, 운동복은 옷장 한편에 방치되곤 한다. 앞서 말한 이야기에 공감했다면, 혹은 올해에는 꼭 새해 목표를 이루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기사를 읽고 일 년 뒤 더 성장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는 왜 작심삼일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1. 잘못된 목표 설정
미국의 심리학 교수 로마노프 박사는 사람들이 새해 목표를 이루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며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은 종종 새로 시작한다는 기대와 솟아오르는 열정 때문에 현실적으로 성취하기 힘든 목표를 세우곤 합니다. 혹은 명확하게 성취 여부를 구분할 수 없는 목표를 세울 경우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도중에 포기하곤 합니다.’
넘치는 열정에 무리한 목표를 세우게 된다면 목표에 대한 생각만으로도 좌절감이 들고 일 년 동안 지속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 더하여 즉각적인 보상이 없는 행위를 이어나가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목표를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로 세분화하여 이루기 비교적 쉬운 단기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것이 장기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준다.
예를 들어 ‘날씬한 몸매 만들기'처럼 추상적이고 성취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목표 대신 장기 목표로는 ‘몸무게 5킬로 감량하기'를, 단기 목표로는 ‘일주일에 2번 이상 헬스장에서 운동하기'를 세우는 것이 권장된다.
솔루션) 목표를 장기/단기로 나누어 설정하고 되도록 구체적이고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자. 단기 목표가 쌓여 어느새 커다란 장기 목표를 성취한 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2. 완벽주의
로마노프 박사는 완벽주의 또한 목표를 지킬 수 없게 만드는 이유라고 설명한다. “사람이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겨 목표를 지킬 수 없을 수 있고, 너무 무리한 계획을 세워 지칠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어떻게 대처하느냐입니다.” 목표를 완벽하게 완수하지 못했더라도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것이,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박사는 말했다. 또한, 지속하는 데 무리가 있을 것 같은 계획을 세웠다면 중간에 계획을 수정하는 유연함 또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 3회 헬스장에서 운동하기’가 본래의 목표였지만 실천하는 데에 부담을 느꼈다면 ‘주 2회 헬스장에서 운동하기’로 변경 후 하루 정도는 가벼운 산책을 하는 식으로 스스로가 약속을 지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목표를 수정하는 것이 포기하고 아무것도 실천하지 않는 모습과 비교했을 때 훨씬 더 바람직한 태도이다.
솔루션) 목표를 지키지 못했더라도 포기하지 말자.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무리한 목표를 세웠다면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도 중요하다.
3. 환경의 어려움
게임 중독에서 벗어나고 싶은데 주변 친구들이 모두 게임을 좋아한다거나, 체중 감량이 목표인데 주변에 파티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다면 목표를 이루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간절하게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주위 환경을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비슷한 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어울린다면 서로 힘들 때 힘이 되어줄 수 있고, 유혹에 쉽게 넘어가지 않을 수 있다. 카카오 오픈채팅, 다음 카페 등을 통해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한다면 조금 더 의지를 가지고 끈기 있게 목표를 이루는 데에 도움이 된다.
환경을 변화시키는 두 번째 방법으로는 유혹이 없는 환경을 강제로 조성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싶다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핸드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앱을 깔아서 사용 시간을 줄이거나, 저축이 목표라면 매달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자동으로 적금통장에 이체가 되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나 자신을 통제하는 것은 웬만한 의지가 아니라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정말 유혹을 떨쳐내기 어렵다면 나 자신을 강제하는 것도 목표를 성취하는 데에 방법이 될 수 있다.
솔루션) 나와 비슷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어울리고 강제적으로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환경을 조성해 보자. 목표를 이루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
앞서 설명한 팁들은 개인의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목표의 성취 여부는 나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 아무리 환경이 열악하고 상황이 어렵다 하더라도 의지만 충분히 있다면 목표를 이룰 수 있다. 모두 작심삼일의 늪에서 벗어나 연말에 한 해를 돌아보며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지난 기사
심리치료 분야의 아버지, 아론 백의 인지 치료(Cognitive Therapy)
출처)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7가지 비결 [더싸이언스타임즈].
Michelle Konstantinovsky, M. (2022, January 3). The psychology behind New Year's resolutions. WebMD. Retrieved December 27, 2022, from https://www.webmd.com/balance/features/psychology-of-new-year-resolution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chungjaeha200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