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지하늘 ]



  1. 서론


    대한신경과 학회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 불안증 발생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한국은 우울증 유병률 1위로 발표됐는데, 그 수치는 무려 36.8%에 다다른다고 한다. 즉 대한민국 국민의 열 명 중 네 명이 우울감이나 우울증을 느낀다는 것이다. 학회는 이 이후 자살률이 급증하였다고 밝혔다. 결국 대한민국은 우울증과 자살률 모두 OECD 국가 중 1위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우울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다. 정신적으로 피폐해지고 나아가 우리의 삶까지 헤집어 놓을 수도 있는 무서운 단어, ‘우울증’. 우리는 대체 어떻게 우울증에 걸리는 것일까.

 

우울증의 원인


우울증에 걸리는 원인은 다양하다. 살아온 환경에 대한 문제도 있고, 신체적인 피로가 정신적 피로까지 이어져 우울증에 걸리는 경우도 있다. 또 정신적인 충격을 받을 만한 사건을 겪었다거나 살면서 겪는 패배감, 실패감 등의 경험이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평범하지만 무기력한 일상을 반복하거나, 아무 일 없지만 행복하다고 느끼지 않는 일상을 지내는 사람에게도 우울증이 찾아올 수 있다. 이처럼 우울증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이유로 우리에게 찾아오고 우리의 삶을 힘들게 만든다. 사람들은 대부분 우울증의 원인을 외부적, 환경적 요소에서 찾는다. 하지만 그런 외부적 요소가 없어도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 바로 우울증의 유전 때문이다.

몇몇 사람들은 정신질환 중 하나인 우울증이 유전된다는 말을 믿기 어려울 것이다. 우울증은 감기나 암, 알레르기와 같이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질환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울증 또한 유전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울증의 가족력


캐나다의 댈하우지 대학교의 한 연구팀은 주요우울장애, 즉 우울증을 앓은 사람들의 직계가족 3,246명과 그렇지 않은 일반인 직계가족 5,22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들의 IQ, 인지 테스트 등을 산출하여 비교했다. 결과는 이러했다. 우울증 환자 가족은 우울증 가족력이 없는 사람들보다 인지 테스트에서 더욱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인지 능력의 저하는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 인지 능력이 저하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통해 우울증 유전 원인에 대한 가능성을 두 가지로 추려냈다. 첫 번째는 시냅스 기능과 신경세포 발달, 뇌 가소성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에 우울증이 유전될 위험이 수십 군데 있다는 것이다. 즉 우울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유전되어 우울증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우울증을 가진 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는 그렇지 않은 자녀에 비해 우울증을 앓게 될 확률이 3배나 높다고 한다. 또한 우울증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오른쪽 뇌 두께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얇아, 이로 인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우울증 환자 가족의 인지 장애가 환경적 요인, 즉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우울증에 걸린 부모에게서 자란 아이는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우울증으로 인해 아이들에 대한 관심과 소통이 부족해지거나 우울증으로 예민해진 정신상태로 아이를 대하는 태도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우울증에 걸린 산모들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우울증에 걸린 산모는 일반 산모보다 자녀에 대한 관심과 대화가 적고, 이로 인해서 자녀 역시 대화와 소통이 부족해지면서 자녀의 인지 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인지 능력이 저하된 자녀는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결론


모든 질환이 그렇듯, 예고를 하고 찾아오는 질환은 없다. 우울증 또한 그렇다. 갑작스럽게 무방비한 상태로 우리에게 찾아온다. 혼자 겪어도 심적으로 힘들고 극복하기 어려운 우울증을 유전적으로, 환경적으로 가족들에게 옮겨 함께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것만큼 힘든 일이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우울증은 인지하고 함께 극복해 나가는 방법이다. 가령 우울증에 대한 얘기뿐만이 아닐 것이다. 가족이 가족인 것은 자신과 가족 구성원이 힘들 때 함께 힘들며 위로해주고 기쁠 때 함께 기뻐해 주는 사랑을 나누기 위한 집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아무리 가족 안에 힘든 일이 생기더라도 함께 극복하고자 하는 사랑의 마음만 있다면 그 어떤 것이라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오늘은 잠들기 전, 가족에게 이 질문을 해야겠다 다짐하며 글을 끝마친다.

 

“오늘도 고생 많았어요. 오늘 하루 어땠어요?”

 

작은 소통의 말은 행복으로 가는 첫 발걸음이다.




지난 기사

사람에게 쉽게 상처받는 당신에게

당신의 우울, 지금 괜찮나요?

주기적으로 예민해지는 당신을 위한 PMS 안내서

일상을 리셋하고 새로 시작하고 싶을 때 – 도파민 단식

무섭지만 공포영화는 보고 싶어!

언젠가 경험해본 듯한 착각, 데자뷔

모순 속의 불쾌함, 인지부조화에 대하여

한 달 같은 일 년을 보내는 당신에게




출처

-우울증, 직계 가족의 인지 능력과 관련 있어 [하이닥]. (2019).

URL: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46717

-우울증 가족력, 뇌 두께 얇아 [의학신문]. (2009).

URL: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553

-이런 부모, 아이 우울증 조심하세요! [헬스조선]. (2009).

URL: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14/2009051400825.html

-한국, 우울증 OECD 1위, 36.8%...우울증 치료율은 최저 [메디게이트뉴스]. (2021).

URL: https://m.medigatenews.com/news/114263459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435
  • 기사등록 2023-01-17 08:37: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