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유진 ]

새로운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제일 좋은 질문은 무엇일까? 현 시점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MBTI라고 답할 것이다. 최근 젊은 세대의 MBTI에 대한 과한 의존 혹은 의존이 문제시 되기도 하지만 몇 개의 알파벳을 통해 효율적으로 상대의 성격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은 많지 않다. 처음 만난 서로의 MBTI를 추측해보며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끌어 나갈 수 있을 뿐더러 같은 성격 유형을 만났을 때는 알 수 없는 동질감을 느끼기도 한다. 사회는 MBTI에 열광적인 관심을 보이나 생활 속에 스며들었기 때문일까 MBTI에 대한 관심에 비해 이의 심리학적 뿌리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저조하다. 이번 기사에서는 MBTI의 뿌리 찾기를 주제로 삼아 이의 근본인 분석 심리학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



의식과 무의식



MBTI는 분석 심리학, 그 중에서도 성격 유형론을 기초 이론으로 삼고 있다. 성격 유형론은 칼 융에 의해 만들어진 이론인데 이는 초반에 외향성/내향성 유형, 합리적/비합리적 유형으로 나눠졌으며 보조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총 16가지로 나타난다. 성격 유형론에 대한 이야기 하기 앞서 그 뿌리인 분석 심리학의 기초 이론 지식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분석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마음은 자아가 중심으로 있는 의식(자아)과 무의식으로 나눠져 있으며 무의식은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 2가지로 세분화 된다. 개인적 무의식은 개인에 의해 억압되어 생긴 무의식의 콤플렉스이며 집단적 무의식은 선천적인 무의식의 원형이다. 



성격 유형론의 외향성/내향성 유형은 앞서 언급한 자아를 어느 방향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유형이 결정된다. 자신의 내적 세계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내향형으로, 외부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사람은 외향형으로 분류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성격 유형론은 어디에 더 심리적 에너지를 쏟는가에 별개로 마음을 어떻게 기능하느냐에도 관심을 갖는다. 이것에서 나온 것이 합리적 기능과 비합리적인 기능이다. 합리적 기능은 사물을 다른 사물과 연결 짓는 사고형과 사물에 대한 견해를 갖는 감정형으로, 비합리적 기능은 비형태적인 것을 잘 알아차리는 감각과 가능성에 대한 감각을 느끼는 직관으로 나눠진다. 



콤플렉스



성격 유형론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갈래의 분석 심리학이 존재한다. 이 역시 대부분 성격 유형론을 창시했다고 볼 수 있는 칼 융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한 것인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학파가 시작됐다. 성적인 측면을 특히 강조한 프로이트와 달리 칼 융은 문화적 배경을 강조하며 개인의 경험이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것을 의식화하는 것만이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을 중시했다. 분석 심리학에서는 콤플렉스의 개념을 중시한다. 앞서 언급한 개인무의식은 개인의 경험에서 비롯되는데 고통스러운 것이나 망각된 것을 저장한 곳인데 콤플렉스는 개인 무의식을 구성하는 인자이다. 콤플렉스는 열등감으로 치부되기도 하지만 열등감은 콤플렉스의 한 종류일뿐이다. 콤플렉스는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모든 감정, 사고, 기억을 의미한다.

 


분석 심리학의 영향



맨 처음에 언급했듯이 분석 심리학은 우리가 자주 다루는 MBTI의 아버지이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집단이나 인류의 마음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선천적인 원형의 작용인 '집단적 무의식' 개념은 민족 개념을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자에게 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성격 심리학 이론을 심층적으로 설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비록 비과학적인 측면에 집중했다는 점이 아쉬운 점으로 뽑히긴 하나 필자는 이것이 분석 심리학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칼 융은 마음을 상당히 큰 세계, 즉 마을을 '섬'이라고 표현한다. 섬이라고 알고 있는 부분이 의식이며 파도에 의해 살짝듯 보이는 부분이 개인 무의식, 깊은 곳에 잠겨있는 곳이 집단무의식이라는 것이다. 보이지 않을 뿐 우리의 마음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지난 기사

꿈, 새로운 영감의 원천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예민 사용 설명서>

왜 우리는 부모님의 행동을 닮아갈까?

너 나 사랑하긴 하니?

실력에 비해 운이 좋은 나

구원자 당신은 어쩌면

내 몸속 깊은 흉터

트렌드를 몰라 불안한 나, 정상인가요?




참고문헌

카를 구스타프 융,「융 심리학 해설」 , 선영사, 2018

카를 구스타프 융, 「칼 융 분석 심리학」, 부글북스, 2022

안광일, 「MBTI 이론에 따른 한국공무원 의식구조의 진단. 분석」, 韓國行政學報, Vol.28 No.1, 1994, 151-16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437
  • 기사등록 2023-01-18 21:45: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