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수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
학교 현장 그리고 심리적 서비스
최근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와 학교를 중퇴하거나 가출하는 청소년의 증가와 같은 문제들로 학생들의 심리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전문상담교사는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와 필요성에 의하여 2005년부터 전문상담교사가 매년 배출되고 있으며, 전국에 전문상담교사가 학생들의 문제 예방 혹은 대처하는데 적절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학교는 학생들의 단순히 지적 욕구만을 충족시켜주는 곳이 아니라 인성 지도와 생활지도 그리고 정서 함양, 더 나아가 평생교육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도 한계가 있으며 또한 교사들에게 이 모든 역할수행을 요구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학교에 교과 지도를 하는 일반 교사들 이외에 학생들에게 다양한 심리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를 학교 현장에 배치하는 일이다.
‘학교 상담’이란 무엇인가?
‘학교 상담’은 ‘학교 안에서 진행되는 상담’ 즉 장소를 기준으로 붙여진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학교 장면에서 주로 학생과 교사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담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자기 이해를 통해 감정과 생각 그리고 행동의 변화를 안내함으로써 인간적 성장을 도모하는 심리적 과정이다.
학교에서의 상담은 다른 현장에서 제공되는 상담에 비해 상담의 구조를 비롯하여 그 특수성을 지니며 다른 전문성을 가진다. 본질적으로 학교 상담은 학교에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상담 활동으로, 예방적, 발달적, 체계적인 목적을 가지고 학생들의 자기 성장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광범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서 학교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상담은 학교 장면에서 주로 학생과 교사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담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자기 이해를 통해서 생각, 감정, 행동 및 태도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인간적 성장을 도모하는 심리적 과정이다.
학교 상담의 목표
학교 상담은 학생의 학교 생활적응, 친구 관계 문제, 학업 문제, 진로 문제 등 여러 종류의 문제에 관여하며 문제의 심각도가 심해지기 전에 미리 문제를 발견하여 조처를 하는 예방의 기능을 한다.
학교에서 상담 교사와 학생은 상담 과정에서 참여하는 중요한 인물로서 함께 상담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학교 상담의 근본적인 목표는 학생의 긍정적인 변화이다. 상담교사는 개인의 성장을 장려하여 그들의 자아실현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일반적 수준의 목표는 보다 구체적인 수준의 중간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완성해 앞으로 나갈 수 있다. 또한 학교 상담의 목표가 학생이 자기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최대한의 자율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학생의 정서적 측면에서 성장과 발달을 돕는 중요한 ‘전문상담교사’
청소년기는 발달 단계에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일생 중 두 번째로 급격하고 다양한 변화를 겪는 시기이므로 교사의 역할을 더욱더 중요하다. 학생의 정서적 측면에서 성장과 발달을 돕는 유일한 교사는 바로 '전문상담교사'이다.
특히 학교 상담은 상담교사의 태도나 정서 및 통찰이 고도의 상담 기술보다 우선 되어야 하나 전문인으로서의 카운슬러의 자질로 충분한 훈련 과정을 거쳐서 갖추어야 한다. 전문상담교사는 치료보다는 예방으로서의 카운슬링에 주의를 기울이고, 학생들이 자기 성취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발견하도록 도우며, 학생과 협동하여 재능을 발휘시키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지난 기사
우리는 남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 그러기에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지연.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 정은미.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7
- 안금옥. "전문상담교사 직무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2010
-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사전, SS 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 전문상담교사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ys875060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