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The Psychology Times=박정훈 ]
2023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원고 모집
우리 사회의 상담심리 분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상담심리 연구자와 실무자의 전문성 향상과 역할의 확장이 더욱 절실해 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담심리학의 정체성을 점검하고,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발전 방향을 고민하며, 관련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 논의를 특별호를 통해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에 한국상담심리학회 학회지 편집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특별호 원고를 모집합니다.
특별원고 주제: 상담심리학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상담심리학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학문적 주제 혹은 상담심리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특별원고를 모집합니다. 다음은 그 예시이며, 그 외 특별원고 주제에 부합하는 함의를 가진 다른 주제들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1) 미래 사회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상담 및 심리치료(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담, 최신 연구동향을 반영하는 주제 등)
(2) 사회적 갈등을 이해하고 통합을 위한 발전 방향 제시(세대, 지역, 계층, 사회적 소수집단 등에 대한 연구, 다문화 및 사회정의 상담에 대한 연구)
(3) 노령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
(4)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대한 연구 (상담자 정체성, 윤리, 법제화, 교과과정 및 수련과정 인증 등)
(5) 상담심리학과 타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
- 특별호 발간 일정: 2023년 11월 30일
- 원고 접수 마감일: 2023년 7월 31일
- 원고 제출 방법: 온라인 논문투고 심사 시스템(JAMS)에서 ‘특별호’ 로 온라인 투고
학회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35권 4호에 특별호 논문으로 게재되기 위해서는 10월 1일까지 최종적으로 게재 가 판정을 받아 주셔야 함을 사전 안내 드립니다. (게재가 판정을 받은 논문들을 대상으로 발간 감수 작업이 11월 29일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 10월 2일 이후로 게재가 판정을 받은 특별호 논문의 경우, 자동으로 일반호 논문으로 전환되어 다음 호에 게재 안내를 드리게 될 예정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논문 심사는 최소 3개월 이상이 소요될 수 있으니 투고 일정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 자세한 신청 방법은 학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의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문의 사항은 메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edit@krcpa.or.kr
(사)한국상담심리학회 학회지편집위원회 양은주, 김민정, 이지연, 정주리, 정지선
(사)한국상담심리학회장 양난미
※ 자세한 사항은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 https://krcpa.or.kr/
출처 : 한국상담학회
저희 The Psychology Times에서는 다양한 학회 소식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상담, 심리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각 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cent_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