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은
[The Psychology Times=이자은 ]
“눈을 감아, 싱클레어!”
포탄이 불꽃과 같이 떨어지는 전쟁 통 속 싱클레어는 총격을 입었다. 그러나 상처에 대한 아픔도 느끼지 못한 채 눈앞의 뜨거운 불꽃으로 타들어 가는 세상을 보며 깊게 고뇌할 뿐이었다. 그러다 문득 한 사람이 떠올랐다. 내가 눈을 뜨게 하고 귀를 트이게 한, 그토록 열렬히 좇고자 했지만, 뒷모습만 보이던 바로 그 사람, 데미안. 싱클레어의 흐느낌을 듣기라도 한 건지 꼭 마법과 같이 눈앞에 나타난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에바 부인의 영혼이 담긴 키스를 건넨다.
데미안은 싱클레어가 처음으로 자신의 세상을 자신이 볼 수 있게 도와줌과 동시에 삶을 살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싱클레어에게 데미안은 그야말로 삶의 멘토이며 선지자인 셈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관계를 무엇이라 정의할 수 있을까? 우정? 사랑? 사제? 어떠한 의무성도 없는 둘의 인연인데 데미안은 왜 싱클레어에게 조언하기 시작했을까? 그렇다면 싱클레어는 어떻게 데미안의 말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자신의 것이라 믿을 수 있었을까?
답은 ‘신뢰와 지지’에 있다. 우리는 어떠한 일에 도전할 때 용기를 구하곤 한다. 별것 아닌 한 마디가 내가 가진 고민을 단숨에 잘라낼 수도 있고 내가 바라보는 관점을 완전히 바꾸어 사실은 전혀 문제가 아니었던 것임을 깨닫게 할 수도 있다. 한마디 말이 큰 진동을 주면 울림으로써 싱클레어들에게 닿는다. 범세계적 대의를 품지 않더라도.
같은 마음을 공유한다는 건
부모님께 거짓말을 했다는 것에 밤새 눈물 흘리던 싱클레어는 유년기 시절 부모님과의 애착 관계가 끈끈하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토록 사랑하는 부모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싱클레어는 왜 만난 지 며칠 되지도 않은 데미안에게 의존하게 된 걸까? 인간이 위기 상황에 빠졌을 때 대화만으로도 큰 지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생의 근원적 문제인 불안은 변동하는 사회에 빠른 적응으로 생존에 유리함을 더할 수 있지만 내면의 불안정성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과유불급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감은 큰 역할을 한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실의에 빠진 빙봉이 기쁨이의 웃음이 아닌 슬픔이의 경청으로 다시 일어서게 된 것처럼.
사건을 인지하는 주인공은 바로 나
상담의 핵심은 내담자가 자신의 인생에서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을 되돌아보게 한다는 데 있다. 특히 단편적인 불안과 고통을 일방적으로 토로하는 경우 내담자는 두려움에 빠져 다른 곳으로 눈길을 줄 여유가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상담자는 이전에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의미를 찾거나 상황의 순서를 바꾸어 생각하도록 하여 내담자 스스로 자신을 성찰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우리는 대개 일상의 특정 사건에는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다른 어떤 것은 일어났는지 인지조차 하지 못하기도 한다. 경험 자체가 사건인 것이 아니라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사건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이라도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느냐가 개인에게 일어난 ‘사건’을 좌지우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싱클레어는 데미안에게 중용의 회색을 알게 한 것이다. 흑과 백으로만 나뉘어 있던 싱클레어의 세계에 회색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고차원에 발을 들인 싱클레어는 그 신비로움에 압도되기도 한다. 그러나 싱클레어는 이내 회색을 인지하고 나아가 삶이란 선과 악을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으며 자기를 인도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임을 깨닫게 된다.
지난기사
오빠를 향한 내 마음이 정신병이라고? (유사연애 시리즈 - 01)
가짜연애라도 연애가 하고 싶어! (유사연애 시리즈 - 02)
참고문헌
이혜성 and 함희경. (2013). 문학상담에 대한 일고찰: 『데미안』에 나타난 위기, 절망, 극복의 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73-698.
도홍찬.(2014).헤세의 [데미안]을 통해 본 도덕적 성장의 의미.도덕윤리과교육,(44),73-98.
이만방.(1996).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 방황하는 청춘의 서사(敍事).월간 샘터,27(10),119-121.
윤영돈. (2011).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이해: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34, 115-14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feria3113@naver.com
생명과학 전공 대학생, 그러나 심리학과 법학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제 삶의 모토를 소개합니다.
1. 최고를 향해 최선을
2. 정공법(正攻法) : 기교한 꾀나 모략을 쓰지 아니하고 정정당당히 공격하는 방법.
항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