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채현 ] 


사진: Unsplash의 Amy Reed

“저 사람은 참 운이 좋아. 나도 운이 좋다면 좋을 텐데”

한 번쯤은 이와 비슷한 말을 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동서고금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은 “행운”을 잡고 싶어 하며, 네 잎 클로버, 까치, 2달러, 숫자 7 등 행운을 담고 있다는 아이템은 항상 인기가 많다.


그뿐만 아니라 나폴레옹의 일화가 담긴 행운의 네 잎 클로버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이를 찾기 위해 들판을 샅샅이 찾아보기도 하고, 2016년 2월, 홍콩의 경매시장에서 “숫자 ‘28’이 포함된 자동차 번호판이 사상 최고가인 230만 달러(약 28억 원)에 낙찰되었다”라고 한다. 단지 번호판에 불과한 이 물건이 고가에 낙찰된 이유는 “쉽다는 뜻의 ‘이(易)’와 중국에서의 행운의 숫자 8이 합쳐져 ‘쉬운 돈’을 연상시키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우리는 “행운”에 열광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자신이 행운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는 통제 불가능한 힘이 행운을 만든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다.


정말 행운은 통제할 수 없으며, 무작위적으로 주어지는 힘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영국 허트포드셔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리차드 와이즈먼(Richard Wiseman)은 신문과 잡지에 광고를 실어 “자신이 특히나 운이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1000명을 모집하였고, 그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실험과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로또처럼 무작위로 일어나는 사건의 결과에서는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운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구성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그들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드러났다.

실험 결과 “운이 좋다는 사람들은 자신의 직관과 직감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는 성향이 있고, 미래가 행운으로 가득하리라고 확신한다.”라고 한다. 즉, “어떠한 주장이나 믿음을 사실이라고 믿으면 실제로 믿는 대로 이루어지는”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는 힘”인 “회복탄력성(resilience)”이 뛰어나며, “불행이 닥쳤을 때도 스스로를 위안하거나 자신의 상황을 통제하며 대처한다.”라고 한다.


또한, “운이 좋거나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로 하여금 운이 좋은 사람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듦으로써 사람들의 행운을 늘리는 것이 가능한지 조사”를 해보았는데 몇 달 후 그들의 삶을 평가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참가자들은 좀 더 행복하고, 건강하고, 운이 좋아져 있었다.”라고 한다.


즉,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면 삶의 질을 지속적이고, 실질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라는 것이다.


리처드 와이즈먼(Richard Wiseman)의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행운은 무작위적으로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며, “무작위로 일어난 사건으로부터 이득을 뽑아낼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달려 있다.” “행운이란 준비가 기회를 만났을 때 생기는 것이다.”라는 로마의 철학자인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의 말처럼 행운이 “배우고 익히는 것이 가능한 기술”인 만큼 모두가 행운을 받아들일 태도를 갖추고, 스스로 행운을 만들어보기를 바란다.






지난기사

고층이 ‘권력의 상징’이 된 이유

‘솔직해질 용기’가 있는 일기

당신은 하루에 몇 번 ‘진짜 미소’를 짓나요?

보호자와 반려견이 닮은 이유는?






[참고문헌]

-김경희&고이정 (2017.10.13.). 우리나라 행운의 숫자는 ‘7’,나라별 행운과 불행의 숫자는?. 조선일보.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17/02/13/2017021311981.html

-김규동 (2021.12.29.). [법마을 세상] 준비가 기회를 만나면 행운?. 한국법률경제신문. 

http://www.klaw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9

-김청연 (2014.03.24.). 실패해도 곧 일어나는 아이에겐 비밀이 있다.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629625.html

-마이클 브룩스. (2017.06.30.). 우연의 설계. 반니.

-이광연 (2021.06.24.). [수학 산책] 0.01% 확률로 찾을 수 있는 '행운의 상징'이에요. 조선일보. 

http://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6/23/2021062302753.html

-정원철 (2018.11.28.). 고통의 자기실현적 예언. 정신의학신문.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806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088
  • 기사등록 2023-04-17 07:41:4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