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채빈
[The Psychology Times=정채빈 ]
대다수의 사람에게 조현병이라는 병명은 낯설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미디어에 출현하는 조현병 환자 캐릭터들 덕분이다. 그러나 이 미디어들이 조현병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를 주느냐는 고려해봐야 할 문제일 것이다. 홍경영과 임숙빈 (2018)에 따르면 미디어는 조현병 환자들은 대부분 폭력적이며 위험한 사람 혹은 희망이 없는 사람 등으로 비추고 있다고 한다. 즉 많은 사람은 조현병을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모습으로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그러나 조현병 환자는 우리 생각보다 드물지 않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는 전 세계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봤을 때0.45%, 즉 222명 중 한 명은 조현병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 수치는 조현병 환자들이 극단적으로 적은 수는 아님을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 일상에는 미디어에서 보는 것처럼 극단적인 조현병 증상을 보이는 사람을 찾기는 쉽지 않다. 미디어와 현실의 괴리가 존재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왜곡되지 않은 시선으로 조현병을 바라보는 것은 조현병이라는 병명에 따라오는 꼬리표를 지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이는 환자들의, 혹은 조현병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치료를 망설일 확률을 낮출 수 있다.
그럼 미디어가 아닌 임상에서의 조현병은 어떤 모습일까? – 대표적인 조현병 증상
1. 환각
환각은 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청각, 시각, 후각, 미각, 촉각을 느끼는 것이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목소리를 듣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이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 (귀찮게 하는 등)일 수 있다. 뇌의 언어 영역의 변화가 환청을 듣는 이유라고 주장된다
2. 망상
망상은 본인의 발상이 이상하거나 비현실적인 관점에 근거하더라도 확신을 가지고 있는 믿는 것이다. 누군가 그들을 감시하고 있다고 믿는다거나 신문 기사에 나오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어떠한 메시지를 주고 있다고 믿는 것 등이 망상의 예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편집증적 망상을 가진 이들은 자신이 가족이나 친구에 의해 추적당하거나 감시당하고 있다고 믿는 경우도 있다. 또한 망상은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3. 혼란스러운 사고
조현병 환자들은 종종 대화나 자기 생각을 이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들은 한 아이디어에서 다른 아이디어로 넘어가는 것이나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하며, 이는 그들의 사고나 말투가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고 혼란스러워지게 만든다고 한다.
조현병 환자 중 일부는 누군가가 일부러 지우듯 생각이 사라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고 누군가가 몸을 점령해 조종하고 있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일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심이 없고, 감정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조현병 증상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조현병은 만성 뇌 질환이며 다중인격과 다른 개념이다.
조현병은 무서운 병인가
많은 연구자들은 조현병의 복잡성이 조현병에 관한 오해를 불러오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대부분의 조현병 환자들은 일반 인구의 사람들보다 더 위험하거나 폭력적이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주장이다. 또한 제한된 치료나 도움이 잦은 병원 입원으로 이어질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조현병 환자들이 병원에서 살게 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하며 조현병 환자들은 대부분 가족과 함께, 혹은 혼자 산다고 한다.
조현병을 치료할 수 있을까?
아직 조현병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지만 다양한 항정신병 약물은 많은 증상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인지행동치료나 지지심리치료 같은 심리치료 또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사회성 향상이나 스트레스 감소 등을 위한 치료법도 있다고 한다.
즉, 조현병은 다른 병들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병이며 미디어에서 보이는 것만큼 위험한 병이 아닌 것이다. 물론 이 글이 조현병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을 수는 없겠지만 조현병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지난기사
참고문헌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조현병 환자에 대한 사회 인식 (홍경영 & 임숙빈, 20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ebsite] (2022)
Symptoms – Schizophrenia (NHS, 2021)
What is schizophreni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jcb091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