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무대 위와 뒤의 두 모습: 연예인 정신 건강을 향한 관심과 필요 - 연예인 자살 원인과 예방
  • 기사등록 2023-05-07 23:05:44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오늘날, 한국 연예인들의 심리 건강 문제와 자살은 사회적 연구와 관심을 필요로 하는 주제이다. 사회의 인정과 팬덤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연예인이라는 직업 안에서, 많은 연예인은 사회가 정의하는 정체성과 개인의 정체성에 큰 혼란을 느끼며 공황 장애, 스트레스, 우울감, 그리고 높은 자살률을 보인다. 이러한 연예인의 정신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연예인들의 심리 건강과 서비스는 아직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지난 몇 년간 많은 연예인들의 죽음으로 연예계 심리 건강과 자살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미 수많은 연예인이 사회의 도움의 손길을 받지 못하고 쓸쓸히 목숨을 잃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떻게 하면 연예인 자살과 정신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지 그 문제들의 요인들과 예방 정책을 알아보도록 하자.




연예인 자살의 원인: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개인적 요인들


심리 상담학 내에서 자살에 관해 이야기할 때, 크게 자살성 사고(ideation), 자살계획(plan), 그리고 자살 의도(intention)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이론과 별개로, 개인의 자살 사고, 계획, 그리고 의도는 연결 지어 때론 순식간에 일어날 수 있는 변수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자살에 관한 생각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다면 가능한 자살 의도를 고려해 그만큼의 심각성을 가지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교육학과와 상담심리치료학과 측 논문에 의하면 연예인들의 자살 사고와 계획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높은 편으로 그만큼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예계 자살의 빈번함 속 가장 큰 요인은 연예인이라는 직업 특성상의 이유와 그에 따른 사회적 시선, 그리고 스트레스, 자아분열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예를 들면, 치열한 경쟁 속 이루어지는 연예계 활동, 유명세와 함께 자기 행동에 대해 신중해져야 하는 책임감, 그리고 악성 댓글과 루머들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있다. 이와 동시에 불안정한 수입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현실적 고민, 그리고 사회에서 보이는 공적자의식과 스스로 바라보는 사적자의식 사이의 혼란, 이로 인한 스트레스, 그리고 감정의 부조화와 같은 개인적 요인들이 있다. 


실제로, 심리상담전문의 오은영 박사 프로그램의 인터뷰 중, 위너의 송민호는 공황 장애와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다고 고백하며, "깊은 골짜기에 고여 있는 느낌"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더 나아가, 한창 명성을 얻었었던 솔로 활동과 여러 예능 프로그램 촬영을 할 땐 카메라 뒤에서 눈물을 몰래 흘리며, 그래도 "촬영을 안 하면 삶이 비극 같은 느낌"이라고도 밝히며 이야기 한 바 있다.



베르테르 영향과 연예인 자살의 사회적 영향


물론, 연예인마다 개인의 가정사, 성격, 경력과 같이 여러 가지의 변수가 정신 건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연예인들이 공통으로 겪는 정신 건강 문제들은 결코 가볍게 넘어갈 수 없는 주제이다. 예를 들어, 몇 주 전 보도되었던 아스트로 소속 그룹 가수 문빈의 자살 뉴스는 다른 연예인들에게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 속 정신 건강 경계치에 있는 많은 청소년과 어른들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베르테르 영향이라고도 알려진 이 사회적 여파는 연예인과 미디어의 자살 내용으로 큰 집단 불안감을 조성한다. 실제로, 2019년 카라 구하라의 죽음 이후에, 작년 방송되었던 심리상담전문의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 같은 팀원 규리 또한 자살성 사고를 가지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그리고 지난주 문빈의 뉴스 이후 서울 강남구에서 또래 10대들의 잇따른 극단적 선택과 같은 현상이 보이며 연예인 자살이 사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다.



“저뿐만 아니라 아직 많은 분이 슬프실 거라고 생각한다. 우리 다 너무 내일 일이 바쁘고, 한 달 후 걱정도 해야 하고, 

일년의 계획도 세워야 하는 사람들이라서 그 슬픈 감정을 충분히 느끼고 보내주지 못하는 상황이 안타깝고 더 슬프다...

아티스트는 사람을 위로하는 직업인만큼 스스로 돌보고 다독였으면 한다.  

내색하지 않으려다가 더 아파지는 일들이 진심으로 없었으면 좋겠다”

- 아이유, 2018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 수상소감 중



연예인 정신 건강 보호 요인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연예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을까? 여러 학술자료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가 큰 효과라고 설명한다. 상담심리치료학과 논문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가 자살 생각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매개효과를 보인다고 밝혔고 이 외에도, 꾸준한 운동과 주위의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만나는 것과 같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취미생활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개인의 노력과 동시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연예인 자살과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관심이다. 심리 상담의 분야와 폭을 넓히며 연예인들을 위한 상담을 제공해 줄 수 있다면 연예계에도, 그리고 그들의 팬덤, 더 나아가 더 큰 사회에게도 긍정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연예계 기획사 내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심리 상담 기회가 더 극대화되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 미국에서 알려진 퍼포먼스 중심 심리 상담과 같이 연예인들과 비슷한 종목에 종사하고 있는 음악인, 댄서, 예술가, 등과 같은 맥락의 심리 상담을 연예인들에게 제공해 주는 방법 또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지난기사

시니어리티스(Senioritis): 졸업 병

기후 우울증 (Eco-Anxiety):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문화 속 이방인

당신이라면 AI에게 심리상담을 받으시겠습니까?

집단 심리상담: 뭉쳤을 때 나오는 힘






참고문헌

부수정. (2018). 아이유, 故 종현 추모…가슴 울린 수상소감. 데일리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686042

이소현. (2023). 또래, 연예인 잇단 극단 선택... 청소년 '베르테르 효과' 경고등. 공감 언론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421_0002275953&cID=10201&pID=10200

이주연. (2014). 연예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조절효과. 글로벌사회복지연구, 4(2), p. 5-20.

이주연 & 김봉환. (2012). 연예인 자살생각의 보호요인: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6), p. 3059-3076. 

이주현. (2012). 연예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채널A 캔버스. (2022년 10월 11일). '이달소' 츄, 폭식 후에 먹토까지?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들의 특징! |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52회. [영상]. YouTube. https://youtu.be/srmxSQNp5ec 

채널A 캔버스. (2022년 6월 24일). 항상 함께였던 멤버를 떠나보내고 슬픔마저도 억제하고 있는 카라 규리 |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37회. [영상]. YouTube. https://youtu.be/FOLUKqJs3FI 

채널A 캔버스. (2022년 3월 30일). "아무것도 즐겁지 않아요" 화려한 성공 뒤에 숨겨진 위너 송민호의 불행과 아픔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24회. [영상]. YouTube. https://youtube.com/watch?v=HjTRUOCsQfQ&feature=share

채널A 캔버스. (2021년 9월 24일).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 댓글의 외모 지적으로 한 달 만에 10kg 감량했던 에일리. [영상]. YouTube. https://youtube.com/watch?v=Tc2aS1FXlN8&feature=share

Hong, D.Y. (2017). Why are K-pop stars susceptible to depression? The Korea Herald.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17122000089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224
  • 기사등록 2023-05-07 23:05: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