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노신영 ]


Pixabay

TV, 뉴스를 보면 어김없이 들리는 소식이 있다. 바로 보이스피싱 범죄 소식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문자나 전화를 받아본 적 있을 것이다. 보이스피싱이란 개념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많은 영화, 드라마, 개그 프로그램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서울 지역 보이스피싱 범죄만 9,000여 건이며 피해액은 2228억에 달한다고 한다. 사기꾼들은 우리를 어떻게 속이는 것일까?


 


'믿음'을 이용하다


Pixabay

사기 범죄자들은 ‘바람잡이 효과’라는 심리트릭을 이용한다. 먼저 바람잡이 역할을 하는 사기꾼이 제3자인 사기꾼을 ‘전문가’나 ‘유명한 직위’에 있는 사람이라고 소개해 준다. 단지 소개를 해주는 것만으로 그 사람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 보이스피싱에서도 바람잡이 효과가 빈번히 사용된다. 지난 2006년 국민건강보험을 사칭해 한 사기 범죄가 화제가 됐었다. 해당 사건에서 범죄자들은 직접 전화를 걸거나 ARS를 발송해 건강보험료를 환급해 준다며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알려주도록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SMS->상담원->환급팀 순으로 여러 단계를 거치게 해 환급팀에 대해 믿음을 가지게 했다.

 

상담원과 환급팀 모두 같은 사기꾼 집단이다. 그러나 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상담원의 소개로 환급팀을 믿게 된다. 이러한 사기 유형은 검찰 사칭 사기에서도 적용된다. 사기꾼은 전화로 본인이 검찰 수사관이라고 속인다. 기존에 수집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사건을 꾸며낸다. 그다음 검사를 사칭하는 다른 사람을 바꿔주며 피해자의 믿음을 강화한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보이스 피싱 수법도 이와 비슷하다. 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범죄에선 문자 메시지를 먼저 보낸다. 그 후 전화를 받은 상담팀이 대출 승인팀을 안내해 준다. 대출 승인팀은 피해자를 속여 돈을 갈취한다.

 



사기꾼을 피하는 방법


Pixabay

우리가 이러한 사기꾼들의 속임수를 알아차릴 방법은 없을까? 첫 번째 방법은 ‘주의 깊게 관찰하기’다. 이를 위해선 거짓말과 진실의 차이를 기억해야 한다. 둘의 차이는 기억과 감정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진실을 말하는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그대로 이야기하므로 기억의 측면에서 부담이 없다. 그러나 거짓말을 그렇지 않다. 그럴듯한 거짓말을 하려면 큰 노력이 필요하다. 어떤 식으로 거짓말을 할 것인지, 추가 질문을 받으면 어떻게 대답할지 고민해야 한다. 상대가 한 질문에 머뭇거리거나 회피하는 순간 그가 사기꾼이라는 의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거짓말은 감정적 소모 또한 크다. 우리는 거짓말을 할 때 혹시나 상대가 알아차릴까 두려움을 느낀다. 특히 가족이나 친한 친구를 속일 때는 죄책감이라는 감정도 발생한다. 거짓말은 진실을 말하는 것에 비해 다양한 감정을 유발한다.


 

이러한 사실은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 지난 2016년 영국 칼리지런던대 연구팀에 따르면 거짓말을 했을 때 뇌 측두엽 안쪽에 있는 편도체가 더욱 활성화된다고 한다. 연구팀은 거짓말을 하는 실험 참가자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장치(FMRI)로 관찰했다. 그 결과 진실을 말할 때보다 거짓말을 했을 때 편도체가 더 많이 활성화됐다. 편도체는 부끄러움,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감정의 소모가 클 것이다. 이러한 감정은 작은 신체 반응으로 이어진다. 그들의 표정변화, 감정적 동요를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꼬리에 꼬리를 물다


Pixabay

두 번째 방법은 ‘질문하기’다. 사기꾼들은 그럴싸한 이야기로 우리를 속인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너무나 완벽해 질문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사기꾼들은 체계적으로 준비해 온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들은 몸짓, 표정 하나까지 충분히 연습한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이 미리 준비한 말이나 표정을 판단하기보단 즉흥적으로 하는 말과 행동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우리가 질문을 던짐으로써 ‘일관성’과 ‘구체성’을 판별할 수 있다. 거짓말은 또 다른 거짓말을 낳는다. 따라서 사기꾼이 말을 많이 할수록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상대방이 하는 말이 진실인지 확인하기 위해선 이야기의 중간 부분이나 특정 부분을 반복해달라고 요청하자. 이를 통해 그의 발언이 조금씩 바뀐다거나 세부적인 묘사가 변화하진 않았는지 이야기의 구체성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거짓말은 또 다른 거짓말을 낳는다’ 거짓말과 관련된 아주 유명한 말이다. 보이스피싱, 사기 범죄가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 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그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 헷갈릴 땐 관찰과 질문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보자.

 





지난기사

과소비 멈춰!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는 방법

우리가 가짜뉴스에 현혹되는 이유

완벽하지 않으면 뭐 어때?

사이비 종교에 세뇌당한 사람들, 그 이유는?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 프레임

포모와 조모, 당신은 어느 쪽에 속하나요?

행위에 중독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







출처:

김영헌. (2014). 잘 속는 사람의 심리코드. 웅진서가.

[필름 사이언스] 거짓말 하면 코가 커진다? 의학적으론 `진실`. URL: https://www.mk.co.kr/news/economy/9053039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450
  • 기사등록 2023-05-31 21:30: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